"미숙아·선천성 이상아 늘어나는데, 소아청소년과 의사 수 ↓"

기사입력 2025-10-09 09:48


"미숙아·선천성 이상아 늘어나는데, 소아청소년과 의사 수 ↓"
자료=보건복지부, 서미화 의원실 재가공

"미숙아·선천성 이상아 늘어나는데, 소아청소년과 의사 수 ↓"
자료=보건복지부, 서미화 의원실 재가공

고령산모가 늘면서 미숙아 및 선천성 이상아도 증가세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지만, 소아청소년과 의료진은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서미화 의원(더불어민주당)이 보건복지부로부터 받은 '최근 6년간 미숙아 및 선천성 이상아 현황'에 따르면, 선천성 기형 또는 변형이 있거나 염색체에 이상이 있는 선천성 이상아는 2019년 27.6%에서 2023년 32.1%로 4.5%포인트 증가했다. 같은기간 조산아 비율은 8.1%에서 10.2%로 2.1%포인트 증가했고, 저체중 출생아 발생률은 2019년 6.6%에서 2024년 7.8%로, 꾸준히 늘어난 것으로 드러났다.

보건복지부는 미숙아의 원인으로 ▲평균출산연령 증가 ▲35세 이상 고령산모 증가 ▲다태아 증가로 보고 있다. 2024년 평균 출산연령은 2019년 대비 0.7세나 늘었고, 35세 이상 고령산모의 비중은 33.4%에서 35.9%로 2.5%포인트 증가했다. 또한 다태아 비중도 4.6%에서 5.7%로 1.2%포인트 증가했다.

신생아 감소 추세에도
미숙아·선천성 이상아 비중이 높아짐에 따라, 신생아 중환자실에 입원하는 건수도 줄어들지 않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최근 5년간, 2023년 44만건으로 소폭 감소한 것을 제외하고는 매년 46만건을 상회하고 있다.

미숙아·선천성 이상아 비중이 높아짐에도 불구하고, 신생아 중환자실 설치기관과 해당 기관에 근무하는 의사는 줄고 있다. 2020년 레지던트와 전문의를 포함해, 신생아 중환자실 설치기관에 근무하던 소아청소년과 의사 수는 534명이였으나, 2025년 367명으로 31.3% 감소했다. 같은기간 신생아 중환자실 설치기관도 92곳에서 89곳으로 3곳이 줄어들었다.

소아청소년과 의료진이 감소하는 가운데, 소아청소년과를 지원하는 인력도 줄고 있다. 2020년 상반기에는 152명을 선발해 총 정원의 71%를 채웠지만, 2021년에는 78명(정원의 36.8%)으로 크게 줄었고, 2025년에는 27명(정원의 13.6%)에 그쳤다. 의정갈등이 최고조였던 2024년을 제외하더라도, 소아청소년과는 매년 인력부족에 시달리고 있다.

서미화 의원은 "OECD 국가중 최하위 출산율을 기록하고 있는 대한민국에서 아이들의 생명과 건강을 지켜야 할 의료 인력과 시설이 줄어드는 현실은 또 다른 국가적 위기"라며, "정부는 출산연령이 늦어져 늘어나는 미숙아와 선천성 이상아에 대한 치료 공백을 더 이상 방치해서는 안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매년 감소하는 소아청소년과 지원율을 올리기 위해, 정부는 소아청소년과의 처우개선, 수련보상 확대 등 관련 지원을 비롯하여, 국가차원의 대책을 강구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소형기자 compact@sportschosun.com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