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평가 항목은 행정혁신, 산업경제, 문화관광, 보건복지, 지역개발 등 7개 부문으로 지표 분석에 더해 주민 만족도 조사, 공적 인터뷰, 전문가 심사까지 5단계의 절차를 거친다.
구미시는 산업구조 개선·복지정책 등에서 성과를 인정받았다.
우선 국책사업 유치를 통해 산업구조를 재편하고 미래 경쟁력을 강화한 점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다.
시는 2023년 반도체 소재·부품 특화단지와 방산 혁신클러스터를 유치한 데 이어 2024년에는 기회 발전 특구로 지정되며 약 3조9천억원 규모의 투자유치를 끌어냈다.
도시 이미지의 전환도 주목받았다.
'구미라면축제', '푸드페스티벌', '낭만야시장' 등을 통해 지역 상권에 생기를 불어넣으며 '회색 공단 도시'라는 낡은 이미지를 벗고 '낭만 문화도시'로 탈바꿈한 것으로 평가됐다
보건복지 분야에서는 생애 전 주기를 아우르는 맞춤형 정책이 높은 평가를 받았다.
시는 '365 소아·청소년 진료센터'와 '신생아 집중치료센터' 운영으로 필수 의료 인프라를 강화했으며, 전국 최초로 개소한 '일자리편의점'은 경력 단절 여성에게 새로운 기회를 제공했다.
이외에도 구미시는 지난해 외국인 투자유치 대통령 표창을 포함해 59건의 기관 표창, 89건의 공모사업 선정, 4천168억원의 교부세 확보 등 행정 전반에서 실적을 보이며 수상의 기반을 다졌다.
김장호 구미시장은 "이번 수상은 41만명 시민과 1천800여명 공직자가 함께 이뤄낸 결실"이라며 "시민 만족도가 주요 평가 기준이었던 만큼 더욱 값지고 의미가 깊다. 앞으로도 시민과 소통하며 희망의 구미를 만들어 가겠다"고 밝혔다.
mtkht@yna.co.kr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