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첫 일본뇌염 환자 발생…발열·의식저하 등으로 입원치료 중

기사입력 2025-10-14 20:08


올해 첫 일본뇌염 환자 발생…발열·의식저하 등으로 입원치료 중

지난 3월 주의보, 8월 경보가 발령된 이후 국내에서 올해 첫 일본뇌염 환자가 확인됐다. 이에 따라 질병관리청이 일본뇌염 예방수칙 준수 및 예방접종 대상자의 접종 참여를 당부했다.

질병청에 따르면, 올해 신고된 환자는 30대로 지난달 16일 발열(39℃), 오한, 두통, 오심 등 증상으로 의료기관을 방문했으며, 의식 저하 상태로 현재 입원 치료 중이다. 경기보건환경연구원과 질병관리청의 확인 진단검사에서 회복기 혈청의 항체가가 급성기에 비해 4배 이상 증가해 14일 확인 진단됐다. 역학조사 결과, 환자는 최근 캠핑 이력이 있었으며 모기물림이 확인됐고, 일본뇌염 예방접종력은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국내 일본뇌염 환자는 대부분 8~11월 발생하며, 9~10월에 80%의 환자가 집중되고, 50대 이상(87.9%)에서 주로 발생한다.

바이러스에 감염되면 발열 및 두통 등 가벼운 증상이 나타나지만, 드물게 뇌염으로 진행되어 고열, 발작, 목 경직, 착란, 경련, 마비 등 심각한 증상이 나타나며, 이 중 20~30%는 사망할 수 있다. 특히 뇌염으로 진행될 경우 환자의 30~50%는 손상 부위에 따라 다양한 신경계 합병증을 겪을 수 있으므로 신속한 진단 및 치료가 중요하다.


◇'작은빨간집모기'. 사진=질병관리청
일본뇌염 매개모기인 작은빨간집모기는 암갈색 소형 모기로 주로 야간에 흡혈활동을 하고, 우리나라 전 지역에서 10월까지 활동하는 것으로 관찰된다. 일본뇌염 매개모기 감시 결과 9월말 기준(39주차) 평균 108개체로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으므로, 모기 물림에 주의하고, 증상 발현 시 신속하게 의료기관을 방문하여 진단 및 치료를 받아야 한다. '작은빨간집모기'는 전체적으로 암갈색을 띠고 뚜렷한 무늬가 없으며, 주둥이의 중앙에 넓은 백색 띠가 있는 소형모기(약 4.5mm)로 논이나 동물축사, 웅덩이 등에 서식하고 저녁시간대에 가장 왕성하게 흡혈활동을 한다.

일본뇌염은 효과적인 백신이 있으므로, 국가예방접종 지원대상인 12세 이하 어린이(2012.1. 이후 출생자)는 표준 예방접종 일정에 맞춰 접종할 것이 권고된다. 또한 과거 일본뇌염 예방접종 경험이 없는 18세 이상 성인 중 ▲위험지역(논, 돼지 축사 인근)에 거주하거나 전파시기에 위험지역에서 활동 예정인 경우, ▲비유행 지역에서 이주하여 국내에 장기 거주할 외국인, ▲일본뇌염 위험국가 여행자 등에 대해서도 예방접종(유료)이 권장된다. 호주, 방글라데시, 부탄, 브루나이, 미얀마, 캄보디아, 중국, 인도, 인도네시아, 일본, 라오스, 말레이시아, 네팔, 북한, 파키스탄, 파푸아뉴기니, 필리핀, 러시아, 싱가포르, 대한민국, 스리랑카, 대만, 태국, 동티모르, 베트남 등이 위험국가로 분류된다.

임승관 질병관리청장은 "최근 매개모기가 증가하고 있고, 10월부터 일본뇌염 환자가 집중 발생하는 시기이므로 야외활동 시 모기에 물리지 않도록 예방수칙을 준수하고, 예방접종 대상자는 접종일정에 맞춰 접종해달라"고 당부했다.
김소형기자 compact@sportschosun.com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