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너희 나라에 '범죄도시' 있다며?"
경기 화성시 한 자동차 부품 공장에서 일하는 코엠퉁(33)씨는 최근 한국인 관리자 '형님'으로부터 이런 얘기를 듣고 깜짝 놀랐다.
코엠퉁씨는 19일 연합뉴스와 통화에서 "장난식의 말이 아니었다"며 "누가 잘못했으면 그 사람이 벌을 받으면 되지 않나. 왜 전체를 그렇게 범죄자처럼 보느냐"고 반문했다.
코엠퉁씨처럼 국내에 거주하는 캄보디아인들이 무차별적 혐오에 고통을 겪고 있다는 호소가 늘어가고 있다.
캄보디아인들의 페이스북과 스레드에는 "가해자와 피해자는 모두 한국인인데, 왜 캄보디아를 욕하느냐", "범죄조직은 중국계다. 캄보디아인도 피해자다"라는 등의 크메르어(캄보디아 공용어) 호소 글도 잇따랐다.
첸다씨는 "캄보디아 정부에서 이런 곳(범죄단지)을 만들었기 때문에 한국이 캄보디아를 미워하거나 무서워하는 것을 이해한다"며 "캄보디아 국민도 법이나 정부를 못 믿는다. 돈 있는 범죄자가 돈을 주면 넘어가 준다"고 말했다.
그는 이번 사태 초기에는 한국인들이 캄보디아인을 '오해'했을 수 있었을 거라며 "이제 뉴스에서 자세히 보도되고 있지 않은가. 캄보디아 국민들도 큰 피해를 보고 있는 것을 아마 한국 분들도 알 것"이라고 했다.
일각에선 캄보디아 정부가 한국인 범죄자를 60명 넘게 추방한 만큼, 반대급부를 조건으로 내건 게 아니냐는 걱정의 목소리도 나온다. 국내에 있는 반정부 성향 인사들의 송환을 요구한 적이 있다는 보도가 근거다.
캄보디아에 급파됐던 우리 정부 합동대응단은 별다른 언급이 없었지만, 당사자들은 촉각을 곤두세우는 모습이다.
노동부 공무원 출신인 놉 소테아(55)씨는 "만약 캄보디아가 (반체제 인사들의) 인도를 요청할 경우 매우 위험하고 심각한 상황이 될 것"이라고 우려했다.
소테아씨는 2년 전 석사학위를 위해 입국해 현재 정치적 망명 목적의 난민 신청 절차를 밟고 있다.
그는 "캄보디아 이주 노동자는 많을 것이지만 저와 비슷한 처지의 사람은 많지 않다. 100명도 안 될 것"이라며 "한국 정부는 인권을 존중하는 나라이기 때문에 캄보디아 정부가 원하는 것을 따르지 않을 것이라 생각한다"고 말했다.
2yulrip@yna.co.kr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