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공지능(AI) 기술 생태계의 중심에 있는 엔비디아의 시가총액이 29일(현지시간) 사상 처음으로 5조달러(약 7천100조원)를 돌파했다.
이날 뉴욕증시에서 엔비디아는 전장보다 2.99% 오른 207.04달러에 마감했다.
종가 기준 시총은 약 5조311억달러를 기록해 역대 처음으로 5조달러의 기업가치에 도달한 기업이 됐다.
엔비디아는 지난 7월 10일 종가 기준으로 시총 4조달러 벽을 사상 최초로 돌파한 지 불과 3개월여 만에 다시 시총 5조달러라는 엄청난 숫자를 현실로 만들었다.
시총 5조달러는 세계 3위 경제대국인 독일의 명목 국내총생산(GDP)을 넘어서는 규모다. 국제통화기금(IMF)은 올해 독일의 명목 GDP가 5조100억달러에 달할 것으로 전망했다.
엔비디아는 전날 워싱턴DC에서 개발자행사(GTC)를 열고 AI와 관련한 대규모 투자 계획과 사업 전망 등을 밝혔다.
젠슨 황 최고경영자(CEO)는 엔비디아의 주력 AI 칩인 블랙웰 프로세서와 새로운 루빈 모델이 내년까지 전례 없는 매출 성장세를 이끌 것이라고 자신하며 항간에 돌던 'AI 거품(버블)' 우려를 일축했다.
엔비디아는 또 우버, 팔란티어, 크라우드 스트라이크 등 여러 기술기업과의 협업 계획을 발표하며 업계 전반에 걸쳐 구축 중인 AI 파트너십을 부각했다.
아울러 엔비디아가 곧 이어 삼성전자, 현대차그룹 등에 칩을 공급하는 계약을 잇달아 체결할 예정인 것도 주가 랠리에 영향을 줬다고 블룸버그 통신은 분석했다.
또 미 언론에 따르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30일 열릴 집권 2기 첫 미중 정상회담에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엔비디아의 블랙웰 칩에 대해 논의할 예정이라고 언급한 내용도 이날 엔비디아 주가 상승에 영향을 줬다.
시장에서는 트럼프 대통령이 엔비디아의 블랙웰 칩 성능을 낮춘 버전을 중국에 수출하는 것을 허용할 수 있다는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다.
투자회사 트루이스트 어드바이저리의 최고투자책임자 키스 러너는 "5조 달러라는 시가총액은 불과 몇 년 전만 해도 상상하기 어려웠을 것"이라며 "시장은 AI가 변혁적일 것이라는 기대에 확실히 큰 비중을 두고 있다"고 말했다.
엔비디아는 이날 주가 급등으로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지수 내 비중이 약 9%에 달하게 됐다.
블룸버그에 따르면 엔비디아의 기업 가치는 네덜란드, 스페인, 아랍에미리트(UAE), 이탈리아, 폴란드 증시 전체 시가총액을 합친 것보다 더 높다.
또 전 세계 증시 중 미국과 중국, 일본, 홍콩, 인도 등 5개국을 제외한 어떤 증시와 비교해도 그 전체 시총 규모보다 크다.
월가에서는 엔비디아의 미래에 대해 낙관적인 전망이 압도적이다.
블룸버그가 추적하는 80명의 애널리스트 중 90% 이상이 매수 등급에 해당하는 평가를 내렸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엔비디아 주가가 계속 치솟기는 어려울 것이란 회의론도 나온다. 이 종목은 2022년 말 이후 이미 1천300% 넘게 상승했다.
포트 피트 캐피털 그룹의 최고투자책임자 댄 아이는 엔비디아가 AMD나 브로드컴 같은 경쟁사들에게 시장점유율을 일부 내줄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하면서 현재 주가가 "과도한 기대를 반영한 가격"이라고 말했다.
pan@yna.co.kr
mina@yna.co.kr
<연합뉴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