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T가 한국형 도심항공교통(K-UAM) 그랜드챌린지 2단계 실증을 성공적으로 마무리했다고 3일 밝혔다. 한국형 도심항공교통 2단계 실증은 도심의 복잡한 저고도 운용 환경에 필수적인 안정성과 정밀성을 더하기 위해서는 기존 항공교통관리(ATM) 체계에 UAM 특화 5G 통신·감시 기술을 융합해야 함을 입증한 첫 사례다. KT는 앞으로도 실증을 통해 얻은 데이터를 기반으로 UAM 통신·감시 기술을 고도화하고, 향후 UAM 상용화 단계에서 5G 항공망이 도심 하늘길의 표준 인프라로 정착할 수 있도록 주력할 계획이다.
KT는 정상 비행뿐 아니라 갑작스러운 통신 두절, GPS 신호 불안정, 예기치 못한 비행체 출현과 같은 다양한 돌발 상황을 실제와 유사하게 구현해 진행했다. KT는 교통관리시스템이 비정상 상황을 실시간으로 감지하고 분석해 교통관리자가 즉각적이고 정확하게 대응할 수 있음을 확인했다.
KT는 800MHz 대역의 UAM 전용 5G 항공망을 기반으로 RTK-GNSS, KASS, ADS-B, MLAT 등 다양한 감시 기술을 융합해 실시간 항적 감시도 수행했다. 수행 결과 교통관리시스템과 기체 간 통신에서 100%에 가까운 전송 성공 수신율을 기록, 각 이해관계자 간 정확한 소통으로 안전한 운항과 효율적인 교통관리 실현이 가능함을 확인했다.
5G 항공망을 통한 비행 데이터의 실시간 처리를 통해 기존 4단계였던 비행 허가 절차도 1단계로 단축시키는 성과도 얻었다. 이는 향후 다수의 UAM이 동시에 운항하는 고밀도 환경에서도 5G 기반의 운항 체계가 빠르고 원활하게 운영될 수 있음을 보여주는 중요한 검증 결과다. 정보공유시스템에서 수집되는 모든 데이터에 명확한 출처와 수집 시각을 기록하도록 설계해 정밀한 이력 추적이 가능하다.
원만호 KT 기술혁신부문 Experience Engineering본부장(상무)은 "이번 실증은 실제 도심 환경이라는 까다로운 조건 속에서도 KT 교통관리 체계와 5G 항공망이 흔들림 없는 성능과 안정성을 보여준 의미 있는 성과"라며 "데이터 신뢰성과 운영 효율성 측면에서도 괄목할만한 결과를 얻은 만큼, 국내 최초 도심 실증 성과를 발판으로 안전하고 신뢰할 수 있는 하늘길을 여는데 집중하겠다"고 말했다.
김세형 기자 fax123@sportschosun.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