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조선

[언택트시대, 체육쌤스토리]'행복한 체육 시간', 건우쌤 스토리

김가을 기자

기사입력 2021-02-09 07:00

<언택트시대, 새 길을 여는 '체육쌤 스토리'(교육부-학교체육진흥회-대한축구협회-스포츠조선 공동기획)>

코로나가 우리 사회의 모든 것을 멈춰 세웠습니다. 교육현장도 마찬가지입니다. 특히 학교체육 현장은 더 힘든 시간을 마주하고 있습니다. 체육시간이 멈추면 우리 사회의 미래도 멈춥니다. 몸과 마음이 건강한 아이들은 우리들의 미래입니다. 그래서 언택트 시대의 '체육쌤'들은 더 바빴습니다. 새로운 체육, 더 나아가 평생 체육의 길을 찾기 위해 뛰었습니다. 그 선생님들의 이야기를 들어봅니다. 우리들의 미래를 만드는 '쌤스토리'입니다.


④'행복한 체육 시간', 건우쌤 스토리

"아, 체육 시간이 행복하지 않을 수도 있구나 싶어서 놀랐죠,"

김건우 선생님(일곡중)은 자타공인 '체육러버'다. 그는 어린 시절 체육에 푹 빠졌고, 그 '찐'사랑은 현재 진행형이다. 지금도 웨이트트레이닝과 축구 등 다양한 체육 활동을 하고 있다. 건우쌤에게 '체육 교사'는 '만족도 100%'의 직업이 될 것으로 보였다. 하지만 그의 부푼 꿈은 체육 교사 첫 날 산산조각났다.

"저는 정말 체육을 사랑해서 체육 교사가 됐어요. 그래서 체육이라고 하면 모두가 좋아할 것으로 생각했어요. 현장에 발을 내디뎠는데 그게 아니었어요. 체육 시간이 행복하지 않은 학생들을 봤어요. 어떻게 하면 학생들이 체육 시간에 행복을 느낄 수 있을까 생각했죠."

건우쌤은 체육 시간을 둘러싼 환경부터 바꿔 나갔다. 체육을 문화로 경험할 수 있는 다양한 장을 마련했다.

"체육 시간은 크게 두 가지로 나뉘어요. 운동의 기능적 부분을 부각한 직접체험과 글과 영상 등을 통해 경험하는 간접체험이죠. 저는 수업이 너무 기능 중심으로 흐르지 않도록 노력했어요. 이 경우 운동을 잘하는 학생만 'A'를 받잖아요. 운동을 잘 하지 못한다고 체육 시간에 소외받아선 안 돼요. 학생들에게 안전한 환경을 만들어주고, 그 속에서 체육의 즐거움을 느낄 수 있도록 노력했어요."



건우쌤은 일상 생활에서 직접 보고 느끼는 '간접체험'을 통해 체육에 대한 편견을 깼다.

"체육 시간에 배우는 야구라고 하면 공을 던지고, 타격을 하는 모습을 상상하잖아요. 하지만 일상 생활에서 많은 사람은 경기를 관람하면서 즐겨요. 그 부분에서 착안했죠. 특히 우리 학교가 속해있는 광주에는 기아 타이거즈라는 훌륭한 프로팀이 있어요. 학생들에게 응원 문화, 앰블럼의 역사, 유니폼의 변천사 등 다양한 요소들로 관심을 갖고 체육 시간에 참여할 수 있도록 했어요. 응원가를 직접 써 보기도 했고요. 축구도 마찬가지에요. 2002년 한-일월드컵 기억하세요? 당시 우리는 축구를 즐겼잖아요. 학생들에게 특정 축구 선수의 리더십, 철학 등을 문화적 관점에서 접근하게 했어요."

단순히 치고 달리는 데 그치지 않는 체육 시간. 놀라운 점은 그렇게 조금씩 체육에 관심을 갖다보면 어느새 '직접체험'에도 뛰어든다는 사실.

"처음에 체육 시간을 즐거워하지 않는 학생들을 봤어요. 그 중에서도 여학생들이 많았죠. 여학생 체육에 조금 더 관심을 갖고 열정을 쏟았어요. 하다 보니 체육에 관심 있는 여학생들도 있다는 것을 알았죠. 그래서 여학생 학교스포츠클럽활동 시간에 다양한 종목을 운영하게 됐어요. 여자축구부는 물론이고 핸드볼, 육상, 피구 등이요. 전국 대회에 나가기도 했는데 학생들이 자율적으로 훈련을 하더라고요. 3월부터 매일 아침 7시30분에 나와서 1교시 전까지, 주말, 방과 후 등에요."


직접적이든 간접적이든 모두가 즐기는 체육 시간. 하지만 코로나19 상황이 모든 것을 막아세웠다.

"엄청 어려운 상황이었어요. 하지만 생각을 바꿨죠. '이래서 못해'가 아니라 '그럼에도 불구하고'라는 마음가짐으로 도전했어요. 온오프라인 체육 수업은 물론이고 온라인 체육대회 등 포기하지 않고 진행했어요. 2학기부터는 거리두기에 적합한 네트 종목 위주로 수업했고요. 무엇보다 공간 재구성 사업을 통해 학생들이 VR, PS4, 애니메이션 등을 활용해 수업했어요. 예를 들어 테니스 수업은 VR과 PS4를 활용해 경기장의 단식과 복식 라인 차이 등을 이해하도록 했어요. 애니메이션을 통해 기본 용어와 규칙을 익힐 수 있도록 했고요."

코로나19 위기는 아직 끝나지 않았다. 그럼에도 우리의 체육 시간은 계속된다. 건우쌤의 열정도 식지 않는다.

"수업 첫 시간에 하는 말이 있어요. '체육은 학교의 심장'이라고요. 심장이 뛰지 않으면 살 수 없듯, 체육 시간이 행복하지 않으면 학교는 활력을 잃고 죽어갈 겁니다. 저는 학생들이 행복한 체육 시간을 통해 체육을 좋아하고 또 사랑했으면 좋겠어요. 체육 교사 역시 이전과 동일한 방법으로는 더는 살아남을 수 없어요. 더 연구하고 노력해야죠. 그래야 교사와 학생이 모두 행복한 체육 시간이 될 테니까요." 건우쌤이 꿈꾸는 행복한 체육 시간은 지금 이 시간에도 조금씩 더 발전하고 있다.

김가을 기자 epi17@sportschosun.com


▶2021 신축년(辛丑年) 신년 운세 보러가기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