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포츠조선 전영지 기자]"국가 차원의 스포츠 안전 전문 특수법인으로 도약할 시간."
|
|
|
재단의 미래전략을 담은 영상에선 체육계 리더들과 정책 전문가, 스포츠인들이 한목소리로 스포츠안전의 법적 제도화 필요성을 강조했다. 김교흥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장은 "국민 누구나 안심하고 향유할 수 있는 체육 생태계 구축을 위해 국회가 입법과 예산으로 적극 뒷받침하겠다. 스포츠안전재단의 역할 확대와 제도적 지원에도 관심과 지지를 아끼지 않겠다"고 약속했다.
|
|
학계, 법조계 전문가들의 제언도 이어졌다. 박광동 한국법제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현재 법령 어디에도 체육행사를 종합적으로 관리할 전담 주체가 없다"면서 "국가가 국민의 생명을 지키는 이 일을 법적 기반 위에서 안정적으로 책임져야 한다"고 말했다. 김대용 한국개발연구원 개발연구실장은 "체육현장은 사고로 인한 사회적 비용과 행정적 비효율이 반복되고 있다"면서 "재단을 국가 제도권에 편입해 정책 신뢰성과 비용 효율성을 높이는 것이 가장 현실적인 해법"이라고 강조했다. 임희선 한국행정연구원 부연구위원은 "전국 체육행사 관련 정보가 통합 관리되지 않아 사고 예방과 대응에 한계가 있다. 이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이를 총괄할 법적 주체의 지정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신동백 KBO 경영기획팀장은 "스포츠 현장에선 선수와 관중의 위험이 상존하고 있다. 선수와 관중의 안전을 위해서는 국가 차원에서 안전관리의 중심 축이 명확해져야 한다"고 했다. 김재근 전국시도체육회사무처장협의회 회장은 "이미 지역체육 현장에서는 스포츠안전재단을 실질적 전담기관으로 인식하고 있다. 앞으로 재단의 역할이 더욱 확대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
|
|
|
|
|
|
전영지 기자 sky4us@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