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상혁, 전국체전 통산 10회 우승...'9번 우승' 찬란했던 2025시즌 마무리 "나를 계속 뛰어넘겠다"

기사입력 2025-10-22 14:33


우상혁, 전국체전 통산 10회 우승...'9번 우승' 찬란했던 2025시…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우상혁, 전국체전 통산 10회 우승...'9번 우승' 찬란했던 2025시…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스포츠조선 박찬준 기자]"나를 계속 뛰어넘는 선수가 되겠다."

'스마일 점퍼' 우상혁(29·용인시청)의 미소였다. 우상혁이 전국체전 통산 10번째 우승에 성공했다. 우상혁은 22일 부산 아시아드주경기장에서 열린 제106회 전국체육대회 육상 남자 일반부 높이뛰기 결선에서 2m20을 넘고 금메달을 목에 걸었다. 지난 달 도쿄에서 열린 2025년 세계선수권부터 통증을 느낀 발목이 좋지 않아 기록은 썩 좋지 않았지만, 적수는 없었다. 2위 박순호(영주시청)의 기록은 2m10이었다.

우상혁은 1차 시기에 우승을 확정했다. 2m15를 단숨에 넘었다. 2m20을 2차 시기에 넘은 우상혁은 2m24로 바를 높였다. 이를 넘지 못한 우상혁은 부상 방지를 위해 경기를 마무리했다. 우상혁은 충남고 재학 시절인 2013, 2014년, 실업 입단 후 2015, 2016, 2018, 2019, 2022, 2023, 2024, 2025년 총 10번의 전국체전 우승을 달성했다. 코로나19 여파로 일반부 경기를 치르지 않은 2020년과 2021년 대회를 제외하면 '6연패'다.

우상혁은 전국체전을 끝으로 화려한 2025시즌을 마무리했다. 올인했던 2024년 파리올림픽에서 메달 획득에 실패한 우상혁은 올해 절치부심에 나섰다. 국내외 10개 대회에 나서 9번이나 우승을 차지했다. 2번의 국내 대회와 7번의 해외 대회에서 정상에 섰다. 우상혁은 2025년 실내 시즌 3개 대회(체코 대회 2m31, 슬로바키아 대회 2m28, 중국 세계선수권 2m31)에서 정상에 오르더니, 실외 시즌에서도 4개 대회(왓 그래비티 챌린지 2m29, 구미 아시아선수권 2m29, 로마 다이아몬드리그 2m32, 모나코 다이아몬드리그 2m34)에서 1위를 차지하며 국제대회 7연승 행진을 벌였다.


우상혁, 전국체전 통산 10회 우승...'9번 우승' 찬란했던 2025시…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우상혁, 전국체전 통산 10회 우승...'9번 우승' 찬란했던 2025시…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우승을 놓친 유일한 대회가 올해 우상혁이 가장 큰 공을 들였던 세계선수권이었다. 9월 16일 열린 도쿄 세계선수권에서 2m34를 넘어 은메달을 수확했다. 당시 우상혁은 2m36을 넘은 해미시 커(뉴질랜드)와 명승부를 벌였다. 우상혁은 아쉽게 금메달에는 실패했지만, 세계선수권에서 두 차례 메달(2022년 유진 2위, 2025년 도쿄 2위)을 획득한 대한민국 유일의 육상 선수로 역사에 이름을 남겼다. 우상혁은 전국체전으로 유종의 미를 거뒀다. 우상혁은 "세계선수권에서 모든 에너지를 쏟아냈다. 전국체전 출전을 고민하기도 했는데, 오늘 많은 분의 응원을 받고 부상 없이 경기를 마쳐 기분 좋다"고 소감을 전했다.

우상혁은 "다음에는 '1년에 10번 우승'해야겠다"고 씩 웃으며 "나 자신을 넘어서야 발전한다. 은퇴할 때까지 나를 계속 뛰어넘는 선수가 되겠다"고 밝혔다. 우상혁은 전국체전 수영 경영 남자 일반부 자유형 200m에서 아시아 신기록(1분43초92)을 세운 황선우에 대해 언급했다. 그는 "황선우가 이번 전국체전에서 아시아 신기록을 세우는 장면을 유튜브 중계로 봤다. 정말 멋지더라"며 "종목은 다르지만, 황선우 같은 선수를 보면 동기부여가 된다. 이번에도 선우를 보며 '나도 열심히 노력해서 더 멋진 선수가 되겠다'고 다짐했다"고 말했다.

이제 우상혁의 시선은 내년 열리는 아이치·나고야아시안게임으로 향한다. 우상혁은 두 차례 아시안게임에서 '레전드' 무타즈 에사 바르심(카타르)에 밀려 금메달을 목에 걸지 못했다. 은메달만 2개를 수확했다. 바르심의 몸상태가 정상이 아닌 만큼, 우상혁에게는 기회가 될 수 있다. 아시안게임을 잘 넘긴다면, 2027년 베이징 세계선수권에 이어 2028년 LA올림픽까지 도전하는 '황금 로드'가 펼쳐진다. 우상혁은 "내년 아시안게임을 잘 준비하고, LA올림픽 메달을 향해 나아가겠다"고 했다. 우상혁은 잠시 휴식을 취한 뒤, 곧바로 다음 시즌 준비에 들어갈 계획이다.


박찬준 기자 vanbasten@sportschosun.com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