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화 이글스가 일본 고치의 시영구장과 동부구장에서 2015 스프링캠프를 펼치고 있다. 24일 오후 고치의 시영구장에서 김성근 감독이 투수들의 불펜피칭을 지켜보고 있다. 한화는 2015 전지훈련을 3월 3일까지 48일 동안 일본 고치와 오키나와에서 실시한다. 김성근 감독을 포함한 코칭스태프 23명과 주장 김태균을 포함해 선수 46명, 총 69명의 한화 이글스 선수단은 고치 시영구장과 동부구장에서 전지훈련을 진행한 후 2월15일 일본 오키나와로 이동해 고친다 구장에서 3월3일까지 전지훈련을 진행한다. 고치(일본)=허상욱 기자 wook@sportschosun.com/2015.01.24/
"그 안에서 스스로 변화를 느껴야 한다."
스프링캠프는 '비축'의 시기다. 한 시즌을 버텨낼 수 있는 힘과 지구력, 기술을 쌓아둬야 한다. 이 기간에 충실히 '저축'을 해두면 시즌을 좀 더 수월하게 치러낼 수 있다. 이런 원리는 투수나 타자에게 모두 적용된다.
그런데 투수의 경우 스프링캠프에서의 훈련법에 관해서 크게 두 가지 주장이 갈린다. 하나는 비시즌 동안 되도록 많은 공을 던지는 게 도움이 된다는 이론이다. 이는 일본 프로야구쪽의 특징이다. 일본 투수들은 스프링캠프 기간에 보통 2000~3000개 가량의 공을 던진다. 많은 공을 던지는 과정에서 자연스러운 투구폼을 완성하고, 제구력도 가다듬을 수 있다는 믿음이 깔려 있다.
이와는 반대로 메이저리그 이론 쪽의 영향을 받은 지도자들은 굳이 투구량을 늘리라고 하지 않는다. 일단 웨이트 트레이닝과 러닝 등으로 몸을 만든 이후 천천히 공을 던지게 한다. 비시즌에 많은 공을 던지면 시즌 중에 구위가 저하될 것을 우려한다.
한화 이글스 김성근 감독(73)은 전자의 이론을 믿는다. 캠프 기간에 많은 공을 반복해서 던지는 과정에서 투수들의 잠재력과 구위가 개발된다고 생각한다. 몸에 무리를 주지 않는 폼으로 공을 던지면 아무리 많이 던지더라도 탈이 생기지 않는다는 것. 물론 그 과정에서 코치의 역할이 중요하다. 투구폼을 미세하게 교정해주면서 몸의 부담을 상쇄해줘야 한다. 김 감독은 일본 고치 스프링캠프에서 그 일을 전담하고 있다. 투수력 강화가 올시즌 '탈꼴찌'의 키포인트라고 판단했기 때문.
한화 이글스가 일본 고치의 시영구장과 동부구장에서 2015 스프링캠프를 펼치고 있다. 22일 오후 김성근 감독이 동부구장에서 정광운의 불펜피칭을 지도하고 있다. 한화는 2015 전지훈련을 3월 3일까지 48일 동안 일본 고치와 오키나와에서 실시한다. 김성근 감독을 포함한 코칭스태프 23명과 주장 김태균을 포함해 선수 46명, 총 69명의 한화 이글스 선수단은 고치 시영구장과 동부구장에서 전지훈련을 진행한 후 2월15일 일본 오키나와로 이동해 고친다 구장에서 3월3일까지 전지훈련을 진행한다. 고치(일본)=허상욱 기자 wook@sportschosun.com/2015.01.22/
과정은 순조롭게 진행되고 있다. 지난달 15일부터 시작된 고치 캠프가 약 한 달 가까이 진행되는 가운데 투수들은 대부분 2000개의 투구수를 소화했다. 잠시 오키나와 재활 캠프에 갔다 온 배영수나 송은범, 그리고 오키나와에서 뒤늦게 합류한 윤규진 등을 제외하고 처음부터 고치에 계속 머물러 있던 멤버들은 제법 많은 공을 던졌다. 최고참 임경완을 비롯해, 송창식 권 혁 안영명 장민제 등 핵심 요원들. 그리고 신인 김민우까지도 모두 부지런히 공을 뿌렸다. 물론, 지금 이 선수들은 온몸의 근육이 비명을 내지르는 상태가 됐다. 하지만 공을 던지지 못할 정도로 탈이난 선수는 없다. 김 감독이 세심하게 컨디션 조율을 해준 까닭이다. 고질적인 허리 통증이 있는 권혁은 캠프 초반 2~3차례 피칭을 거르기도 했다.
고치 캠프가 거의 마무리되어 가는 시점. 김 감독은 투수진에 대해 "제법 많이들 던졌다"면서 "기대가 되는 아이들이 있다"고 대체적으로 만족스러운 평가를 내리고 있다. 하지만 아직 갈 길이 멀다는 점도 분명히 했다. 김 감독은 "공을 2000개~2500개 던졌다는 게 중요한 게 아니다. 그렇게 던지면서 스스로 생각을 바꿔야 한다. 자기 안으로 들어가서 틀을 깨트려야 발전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과연 한화 투수들 중에 누가 2500개의 공을 뿌리며 변화의 실마리를 찾아냈을 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