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조선

[테마포커스]갈수록 줄어드는 FA 이적 시장, 작년 1명 올해는?

정현석 기자

기사입력 2019-11-22 09:21


10일 서울 잠실야구장에서 KBO리그 준PO 4차전 LG 트윈스와 키움 히어로즈의 경기가 열렸다. 4회 안타를 친 LG 오지환이 손을 들어보이고 있다. 잠실=송정헌 기자 songs@sportschosun.com/2019.10.10/

[스포츠조선 정현석 기자]FA 이적. 갈수록 어려워지고 있다.

점점 줄어드는 추세적 흐름은 또렷하다.

2017년까지 비교적 활발했던 FA 이적 시장. 2018년부터 급속도로 식기 시작했다. 18명 중 단 2명만이 팀을 옮겼다. 강민호가 4년 총액 80억원에 롯데에서 삼성으로 옮겼다. 민변헌도 같은 조건으로 두산에서 롯데로 이적했다.

2019년. 15명의 FA 중 팀을 옮긴 선수는 단 한명 뿐이었다. 두산에서 NC로 이적한 양의지가 유일했다. 4년 총액 125억이란 역대 최고액. 군계일학의 거액에 나머지 FA 선수들의 상대적 박탈감이 심했다. 포수 최대어란 독보적 가치가 작용한 이례적 케이스였다.

나머지 선수들은 모두 잔류를 택했다. 최 정과 이재원 등은 그나마 좋은 조건으로 소속팀에 잔류했지만, 꽤 많은 준척급 선수들이 마음고생을 했다. 이적 시장이 꽉 막힌 탓이었다. 타 팀 FA를 영입하는 사례는 점점 줄어드는 추세다. 대부분 구단들이 소극적인 입장으로 선회했다. 거액을 안겨야 하는데다 보상선수를 내주면서까지 영입할 필요성에 대한 회의가 있다. 그러다 보니 준척급 FA는 난감하다. 소속팀 외엔 입질이 없으니 울며 겨자먹기로 도장을 찍을 수 밖에 없다. 거부하면 1년 전 노경은 케이스 처럼 파국 뿐이다.

올 겨울은 FA는 2016년 이후 최다인 20명이 계약을 기다리고 있다. 양적으로나 질적으로 준척급이 많다. 하지만 아쉽게도 FA 이적은 여전히 쉽지 않은 형국이다. FA 등급제 등 완화 장치가 논의되고 있지만 아쉽게도 이번 FA는 해당 사항이 없다.

FA 시장도 당연히 수요 공급의 법칙이 유효하다. 협상은 희소성의 싸움이다. 공급보다 수요가 월등히 많은 레어템일 수록 가격이 치솟는다. 타 구단 입질이 없으면 절대 불리해질 수 밖에 없는 구조다.

이미 소속팀 잔류 흐름은 또렷하다. 이적이 유력했던 포수 이지영이 소속팀 키움 히어로즈와 3년 총액 18억원에 잔류를 선택했다. 앞으로도 가속도를 낼 전망이다. LG 트윈스 오지환, KIA 타이거즈 안치홍 김선빈, NC 다이노스 포수 김태군, 한화 이글스 투수 정우람 김태균 이성열, 롯데 자이언츠 전준우 등 올 겨울 주목할 만한 FA 행보에 관심이 쏠리는 이유다. 예전 같으면 충분히 이적을 고려할 만한 탐나는 선수들. 선택지가 줄어 협상이 불리해지고 있는 것만은 사실이다.


정현석 기자 hschung@sportschosun.com


▶사주로 알아보는 내 운명의 상대

▶눈으로 보는 동영상 뉴스 핫템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