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전=스포츠조선 박상경 기자] 올 시즌 한화는 최하위에 그쳤으나 투-타 양면에서 질적 성장을 했다.
김 코치는 워싱턴 코치의 빈 자리를 두고 "굉장히 믿고 의지했던 분이다. 마지막 미팅 때 우는 모습을 보고 나도 눈물을 참느라 혼났다"고 말했다.
새 시즌 김 코치가 이끌게 될 한화 타선은 과연 어떤 모습으로 바뀌게 될까. 김 코치는 "워싱턴 코치와 그동안 계획해온 것들을 그대로 실행하기에 큰 걱정은 없다"고 말했다. 워싱턴 코치가 강조해온 스트라이크존 공략법 '가운데'를 두고도 "모든 타자가 실투를 놓치려 하지 않지만 존을 파고드는 공의 궤도나 각도까지 생각하진 못한다. 변화구가 어디서 시작해 가운데로 들어온다고 설명해주고, 데이터로 잘 칠 수 있는 코스의 공을 공략하는 법을 알려줘야 한다. 나도 완전히 동의하는 부분"이라고 고개를 끄덕였다. 김 코치는 "타격은 한 순간에 드라마틱하게 변하진 않는다. 하지만 올 시즌을 치르면서 나나 선수들 모두 좋은 변화를 느꼈다. 타팀 선수, 코치들 사이에서 '한화 타자들 상대하기가 까다로워졌다'는 말도 들었다. 우리 방향에 집중한다면 분명 조금씩 좋아질 것"이라고 강조했다.
'단톡방'은 노하우 공유를 위해 좋을 순 있지만, 개인적인 생각을 노출한다는 점에서 부담감으로 다가올 수도 있다. 그러나 한화 선수단에겐 자연스러운 일이다. 김 코치는 "올해 워싱턴 코치와 단체 소통 및 영상을 거치면서 그런 분위기에 익숙해졌다. 내가 먼저 나서서 하면 선수들이 부담감을 가질 수도 있다. 내 역할은 최소화하되, 선수들이 막히는 부분이 있으면 언제든 묻고 해결할 수 있는 창구가 됐으면 한다"고 말했다.
흥과 끼가 넘쳤던 워싱턴 코치의 빈자리는 그래도 커 보인다. 하지만 김 코치는 "나도 텐션이 높은 사람인데, 워싱턴 코치가 더 하더라. 둘 다 그러면 안될 것 같아 내가 올해 자제했던 면도 있다"고 웃으며 "내년엔 활기참과 진중함의 밸런스를 잘 맞춰 타자들과 좋은 시즌을 만들어보고 싶다"는 바람을 나타냈다.
대전=박상경 기자 ppark@sportschosun.com
▶2022 임인년 신년운세 보러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