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포츠조선 정현석 기자]S존 변화는 2022 프로야구의 가장 큰 화두 중 하나.
FA 활발한 이동과 외인 새얼굴 대거 유입 등 전력 변화 파동이 컸지만 S존 변화는 실질적으로 이뤄진다는 전제 하에 판도에 가장 큰 변수가 될 수 있다.
하지만 속내는 다르다. 투수도 타자도 스타일에 따라 머리 속이 복잡하다.
투수가 유리하고, 타자가 불리해지리라는 전망은 일반적이다. 하지만 어느 정도 유리할 것인지, 어느 정도 불리할 것인지는 개별적이다.
몸쪽 높은 공과 바깥쪽 경계선상의 공을 마음 먹은 대로 던질 수 있느냐 여부가 투수의 희비를 가를 것이다. 반면, 도저히 칠 수 없는 높은 공을 참아내고 한번의 실투를 기다려 타격 기회를 잡을 수 있느냐 하는 능력이 타자의 희비를 가를 것이다.
보직에 따른 상대성도 있다.
한화 마무리 투수 정우람은 과연 어떨까. S존 변화에 대한 질문에 그는 이런 답을 했다.
"일단 (어떻게 변화할 지) 궁금하긴 해요. 아무래도 경기 후반으로 갈수록 존이 타이트 해지긴 하거든요. 투수 입장에서는 공 반개 정도 변화가 아무래도 크게 느껴지긴 하죠."
사실 S존 확대란 말은 모순적 표현이긴 하다. 규칙에 이미 정해져 있는 부분이기 때문이다.
좌우는 홈 플레이트 폭에 고정돼 있다. 상하는 타자의 키에 따라 상대적(어깨와 허리 중간선부터 무릎 아래까지)으로 적용해야 한다.
KBO가 강력하게 공언하는 "S존 확대" 의지는 그 동안 이 규정보다 다소 좁게 적용돼 왔음을 의미한다.
더 큰 문제는 용두사미였다. 시즌과 경기 때 뒤로 갈수록 좁아졌다.
시즌 초 잘 지켜지다 시즌 말로 갈수록 좁아졌다. 경기 초반 잘 지켜지다 경기 후반으로 갈수록 좁아졌다.
가뜩이나 타이트한 상황에서 올라오는 마무리 투수로선 죽을 맛이었던 셈.
과연 올해는 이러한 마무리 투수들의 고충이 덜어질까.
잘 지켜지기만 한다면 리그 최고의 컨트롤러 정우람으로선 반가운 일이다. 하이패스트볼과 바깥쪽 가라앉는 공은 그를 최고 마무리로 유지시켜준 주무기였다.
과연 S존 변화는 모두가 체감할 만큼 실질적으로 이뤄질까. 산전수전 다 겪은 베테랑 투수. '제2의 전성기'를 향한 봄 바람이 불고 있다.
정현석 기자 hschung@sportschosun.com
▶2022 임인년 신년운세 보러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