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포츠조선 김영록 기자]선수협이 한국도핑방지위원회(KADA)를 향해 보기드물게 큰 소리를 냈다.
선수협 측은 '일반인들도 치료 목적으로 흔히 사용하는 국소적 투여가, 부작용이 있을 수 있는 전신적 투여와 함께 금지됐다'면서 '통증이나 부상으로 부상자명단(IL)에 이름을 올리고 주전력에서 이탈한 상태에서 치료를 위한 주사 치료를 받지 못하면 더 큰 부상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어 '해당 약물은 부당한 경기력 향상과도 아무런 관계가 없다. 특히 금지약물에 대해 강력한 규정을 가진 미국프로야구(MLB)도 선수의 부상 시에는 스테로이드 치료를 허용한다'고 주장했다.
선수협 측은 '프로선수라는 이유로 일상적인 치료조차 금지된다는 것은 대한민국이 보장한 의료 혜택을 차별없이 받을 수 있는 일반적인 환자의 권리가 침해되는 것'이라며 '선수들의 치료 권리 보장 차원에서, 주치의사의 소견을 통해 선수의 통증이 심하여 스테로이드 주사 치료가 필요한 선수와 부상으로 IL 등록 기간에 있는 선수들에게는 치료 목적의 주사 치료를 허용하는 등의 적절하고 상식적인 예외 규정이 마련돼야 한다'고 거듭 강조했다.
또한 '도핑방지 목적은 건전한 스포츠정신이 훼손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지 정당한 치료를 받지 못하게 하는 것은 아닐 것'이라고 덧붙였다.
김영록 기자 lunarfly@sportschosun.com
▶ 무료로 보는 오늘의 운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