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스포츠조선 권인하 기자]"자네가 하소. 염 감독이 하소."
류 감독과의 재계약을 하지 않게 되면서 여러 감독 후보들이 하마평에 올랐지만 염 감독은 LG 새 감독 후보로 언급되지 않았다. 당시 이미 LG에 2군 코디네이터로 내정돼 있었기 때문이었다.
염 감독은 당시 "LG에서 육성 총괄을 맡기로 했었다"면서 "그때 육성 총괄을 맡기로 할 때 차명석 단장과 얘기를 나눈 부분은 선수들을 키우는 부분에 대해 코치들을 교육하고, 캠프에 가서는 류지현 감독에게 어드바이스를 해주는 역할을 하기로 했던 상태였다"고 했다.
하지만 변수가 발생했다.
플레이오프에서 LG가 키움 히어로즈에 1승 후 3연패로 한국시리즈 진출에 실패하면서 기류가 바뀌기 시작했다.
LG가 플레이오프 4차전서 패해 한국시리즈 진출이 좌절된 뒤 일주일 만인 4일 류 감독과의 결별이 전격 발표됐다.
바로 그날, 염 감독은 구본능 구단주 대행의 전화를 받았다.
염 감독은 "구 회장님이 갑자기 전화를 하시더니 '자네가 하소. 염 감독이 감독 하소'라고 말씀 하셨다"면서 "내가 놀라서 '네?'라고 하니 회장님이 '그냥 감독 하소'라고 말씀 하시곤 전화를 끊으셨다. 그리고 다음날 구단측과 만나 계약을 하고 다음날 발표가 됐다"라고 감독 계약의 비하인드 스토리를 밝혔다.
|
|
|
갑작스럽게 맡은 LG 사령탑. 하지만 염 감독은 준비된 리더였다.
쉬는 동안 감독으로 실패했던 경험을 되짚어보며 바꿔야할 부분을 스스로 바꿨다.
LG도 바꿨다. 경기 중 화를 내고, 환하게 웃으며 감정을 표현하는 것부터 달라진 부분이었다.
대부분의 감독이 어떤 상황이든 포커페이스를 유지하려고 하는데 염 감독은 LG에서 표정부터 싹 다 바꿨다.
2020년 SSG 감독 당시 스트레스로 쓰러지기까지 했던 과거 아픔으로 돌아가지 않기 위한 절제이자 자기 관리였다. 가족을 위해 집에선 야구 생각을 하지 않기로 하는 등 생활 패턴까지 바꿨다.
LG에게 부족했던 디테일과 과감함을 불어 넣기 위해 스프링캠프부터 코치들과 함께 머리를 맞대고 노력했다.
염 감독은 시즌 전부터 공격적인 주루를 강조했고, 엄청난 도루 시도와 실패로 팬들의 질타를 받기도 했다.
하지만 우승 후 인터뷰에서 오지환은 "팬분들이나 기자분들께서는 이게 뭐냐고 하실 수 있지만 그러다 보니까 선수들이 좀 도전적으로 바뀐 것 같다. 마음이 약한 친구들도 주눅 들지 않고 자신 있게 플레이를 하게 된 것 같다"며 "이런 시리즈에서 부담을 가질 수 있는데 고참, 후배들 가리지 않고 모두 도전적으로 포기하지 않고 했다"고 말했다.
결국 염 감독의 의도대로 '노 피어(No Fear)'로 팀 분위기가 바뀌었다. 가을만 되면 위축됐던 선수들이 씩씩해졌다.
1차전 패배 후 2차전 선발 최원태가 1회 무너지며 0-4로 뒤졌지만, LG 선수들은 포기 없이 차근차근 따라가 결국 5대4로 뒤집어 시리즈를 원점으로 돌렸다. 벤치도 1회부터 불펜 필승조를 총동원하는 승부수로 승리에의 의지를 선수들에게 보여줬다. 한국시리즈의 분수령이었다.
길다면 길고, 짧다면 짧았던 지난 1년 간의 의미 있는 변화. 그 속에서 LG는 진정한 강자로 거듭났다.
이젠 9개 팀이 모두 꺾어야 하는 최강팀이자 '공공의 적'으로 떠올랐다. 세번째 우승까지 무려 29년이 걸렸지만, 네번째 우승은 엄청 짧아질 것 같다.
권인하 기자 indyk@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