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전=스포츠조선 김영록 기자] 롤모델로 꼽았던 대선배가 FA로 팀을 떠났다. 아이러니하게도 기회가 왔다.
푸트워크부터 글러브질까지, 김 코치의 노하우가 속속들이 배어들고 있다. 그는 "원래 수비 훈련은 기본기 반복이라 재미없다. 그런데 김 코치님 오시고는 다르다. 분위기도 그렇고, 새롭게 배우는 것도 많다. 요즘은 타격 훈련보다 재미있다. 수비를 잘하는 선수가 되고 싶다"고 강조했다.
|
프로에선 내야 전포지션을 연습해왔다. 특히 고교 시절 타격에 전념하느라 포기했던 유격수의 꿈을 다시 불태우고 있다. 정대선은 "어느 포지션에서 뛰어도 수비는 크게 부담을 느끼지 않는다"면서도 "2루는 송구가 편한게 가장 큰 장점인데, 그래도 유격수 자리에 욕심이 있다"고 강조했다.
|
김태형 감독은 '우승청부사'답게 수비를 중시한다. 일단 수비와 마운드를 탄탄하게 갖춰놓고 타격에선 승부처에 올인하곤 한다. 정대선도 이를 잘 알고 있다. 그는 "수비가 좋아야 이기는 팀이 될수 있다. 나도 수비가 좋아야 1군에서 오래 뛸 수 있다"면서 "송구를 보완할 수 있게 어깨를 만드는 것도 비시즌의 숙제다. 정확도는 괜찮은데 강도가 아직 좀 부족하다"고 했다.
타격에서는 아직 힘이 좀 부족하다. 하지만 노림수가 좋고, 나이답지 않게 변화구 대처도 좋은 편이다.
|
하지만 김태형 감독은 신예 발굴과 육성에도 일가견이 있다. 조건이 갖춰진다면 과감하게 발탁하고 밀어주는데도 능하다. 정대선은 마무리캠프를 지켜본 김태형 감독이 "괜찮다"는 평가를 내렸다. 신예 선수들 중 2루 주전으로 도약할 선수가 있다면 단연 1순위다.
특히 롯데는 1년 선배 윤동희, 동기 김민석 등 젊은 타자들의 활약이 유독 두드러진 한 해였다. 정대선은 "내게도 많은 동기부여가 됐다. 타격에서도 힘을 키워서 내년 캠프 때는 달라진 모습으로 돌아오겠다"며 주먹을 불끈 쥐었다.
김영록 기자 lunarfly@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