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포츠조선 김용 기자] 장재영은 1군 야수로 성공할 수 있을까.
22일 경기가 이어졌다. 3타수 무안타 2삼진. 두산의 5선발급인, 수준급 투수 김동주를 만나 삼진, 삼진, 유격수 플라이에 그쳤다. 김동주의 공에 타이밍을 잡지 못했다. 사실 21일 첫 경기도 안타는 초구 직구를 노렸는데 정철원의 공이 마침 힘 없이 한가운데로 몰렸다. 나머지 2개의 삼진 장면을 볼 때 일단 컨택트 자체에 애를 먹는 느낌이었다.
그렇다고 타자로서의 가능성을 단 2경기로 평가할 수는 없다. 지난해 잠시 투-타 겸업 시도를 했지만, 아마추어 시절 이후 거의 방망이를 친 일이 없다. 감을 잡아가는 과정이다. 타격 폼이 좋고, 파워도 있어 보였다. 청소년 국가대표팀 4번타자 다운 모습은 확실히 보였다.
|
야수는 방망이도 치고 수비도 해야 한다. 1군에 자기 자리를 만드려면 확실한 수비 포지션을 확보해야 한다. 홍원기 감독이 "수비"를 가장 먼저 얘기하는 이유다.
홈런을 30~40개 칠 수 있는 힘과 실력을 보여주면 문제 없다. 그런 타자라면 수비를 못해도 지명타자로 박아놓고 써야 한다. 하지만 장재영이 당장 그럴 가능성은 높지 않다. 지명타자로 뛰어야 할 다른 선수들이 많은 가운데, 장재영이 1군에서 기회를 얻으려면 수비를 해야 한다. 키움은 당장 이주형이 햄스트링이 좋지 않아 지명타자로 나가는 경기수가 많아지고 있다.
문제는 방망이가 아니라, 수비로 어필을 할 수 있느냐다. 일단 중학교 때까지 주 포지션이었던 유격수를 하겠다며, 훈련에 나섰는데 한 눈에 봐도 자세가 높고 글러브질 등이 어설펐다. 오랜만에 하는 수비 훈련이고, 보는 눈도 많아 긴장한 것도 감안해야 겠지만 그걸 떠나 기본적으로 1군 유격수로 뛸 기본기가 아니었다. 유격수는 공격보다 수비가 더 중요한 포지션이다.
|
하지만 외야 수비도 만만히 봤다가는 큰 코 다친다. 올해 한화 이글스 최고 히트 상품인 페라자는 방망이로만 보면 최고 선수다. 하지만 외야 수비가 너무 어설프다. 범위가 좁다면 중견수가 도울 수 있지만, 자신쪽으로 오는 타구 판단도 약한 케이스라 언제든 수비에서 대형 사고가 터질 수 있다.
외국인 타자라 꾸준히 뛰는 것이지, 방망이에 100% 신뢰를 주지 못한다면 그 수비로는 1군에서 제 자리를 잡기 힘들다.
김용 기자 awesome@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