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포츠조선 김민경 기자] KIA 타이거즈가 새 주전 유격수를 구한다. 팬들의 기대대로 김도영이 박찬호의 빈자리를 대신할 수 있을까.
이범호 KIA 감독이 인정하는 박찬호의 가장 큰 장점은 내구성이다. 올해 KIA가 김도영, 나성범, 김선빈 등 주축 선수들의 줄부상에 신음할 때도 박찬호는 큰 부상 없이 묵묵히 자리를 지켰다. 잔부상 없이 뛰는 선수가 어디 있겠느냐만, 박찬호는 적어도 출전 시간을 조절하며 몸 상태를 관리하는 스타일은 아니었다.
수비 이닝이 말해준다. 박찬호는 2019년 KIA 주전 유격수로 발돋움해 2020년부터 올해까지 6년 연속 수비 1000이닝 이상을 기록했다. 2023년 1042⅔이닝, 2024년 1120⅓이닝, 올해 1114⅓이닝을 기록하며 3년 연속 팀 내 수비 이닝 1위에 올랐다. 올해 KIA에서 수비 1000이닝을 넘긴 야수는 박찬호가 유일하기도 했다.
|
|
3루수 전환은 대성공이었다. 김도영은 지난해 141경기, 타율 0.347(544타수 189안타), 38홈런, 40도루, 109타점 맹타를 휘두르며 정규시즌 MVP와 3루수 골든글러브를 차지했다. 거포 3루수로 성장할 가능성을 200% 증명한 시즌이었다.
다만 김도영은 지난해 실책 30개를 기록해 아쉬움을 샀다. 리그 최다 불명예 기록이었다. 그래도 김도영의 기본 수비력을 낮게 보는 이는 없다. 많은 실책은 1군 주전으로 성장하기 위한 세금 정도로 여겼다.
지금으로선 김도영이 차기 유격수로 가장 확실한 카드인데, 건강이 가장 큰 걸림돌이다. 김도영은 올해 햄스트링을 3번이나 다쳐 정규시즌 30경기 출전에 그쳤다. 김도영이 내년에 또 다치면 답이 없다는 것을 알기에 구단은 신중하다. 건강만 보장되면 유격수 전환은 전혀 문제가 안 된다고 본다.
이 감독은 "(김)도영이를 유격수를 시키자니 햄스트링이 조금 그럴 것 같기도 하고, 한번 봐야 될 것 같다"면서도 "도영이를 유격수로 보내면 (변)우혁이를 3루수 연습을 한번 시켜보려고 한다. (오)선우가 1루수를 하면 (윤)도현이를 2루수로 기용하거나 1루수로도 뛰게 하는 방법도 생각하고 있다"고 밝혔다.
심재학 KIA 단장은 "선수 기용은 감독님 고유의 권한이다. 감독님도 여러 고민을 하실 것이다. 김도영도 몸이 건강하다는 전제 하에는 대안이 될 수도 있을 것 같다"고 이야기했다.
|
김민경 기자 rina1130@sportschosun.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