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C현장] '48시간' 이미숙·성시경·탁재훈, '죽음' 소재라 더 리얼한 (종합)

기사입력 2016-11-30 15:04



[스포츠조선 박현택 기자] '죽음'을 소재로 '삶'을 이야기한다.

tvN 새 예능 '내게 남은 48시간'(이하 48시간)은 출연자들에게 '인생에 남은 시간이 48시간 밖에 없다면'이라는 가상 상황을 주고 최후의 시간을 어떻게 보내게 되는지를 팔로우하는 리얼리티 프로그램. 국내 최초 '죽음'을 소재로 한 예능으로써 때론 유쾌하고 감동적인 인생의 마지막 여정을 통해 누구나 공감하는 웃음과 감동의 순간을 제공하겠다는 의도다.

프로그램 설명 한 줄만 보아도 단번에 '신선하다'라는 생각이 들게하는 차별성. 누구나 호기심을 가질법 하지만, '웃음'을 기본으로 하는 예능 방송에서 어둡고 진지한 방송을 어떻게 풀어나갈지 관심이 모인다.


30일 오후 서울 상암동 스탠포드 호텔에서는 '48시간'의 제작발표회가 열렸다. 이 자리에는 연출 전성호 PD와 MC진 이미숙, 성시경, 탁재훈이 참석했다. 연출을 맡은 전성호 PD는 죽음을 이야기 하는 것이 오히려 삶을 이야기하는 것임을 강조했다. 그는 '48시간'의 기획의도에 대해 "그동안 죽음이라는 소재는 '금기'처럼 여겨져 왔다. 그런데 어느날 '왜 그 소재를 시도하면 안되는가'하는 생각이 들었다"며 "물론 '죽음'이 가진 부정적인 면을 알지만, 누군가는 속 시원히 이야기할 필요가 있다고 봤다"고 말했다. 이어 "우리가 죽음을 이야기하다보면, 오히려 '현재'가 더욱 부각되며, '나는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라는 삶에 대한 고민을 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라 생각했다"라고 말했다.

고개를 끄덕이게 하는 설명. 그런데 왜 '48시간'일까. 전성호 PD는 "24시간은 생을 마감하기 전 마지막 시간으로는 다소 짧다. 또한 3일을 준다면, 사실 해외에도 한번 다녀올 수 있을 정도의 시간이다"라며 "48시간은 죽음을 앞둔 사람을 체험할 수 있는 가장 적절한 시간이라고 생각했다"고 말했다.

독특한 예능의 기획안을 받아 든 MC들은 어떤 생각을 했을까. 이미숙은 "처음 섭외를 받았을 때는 '죽음'이란 것은 한 번도 생각해보지 않았던 일이었다"며 "생각하기 꺼려지고 나한테 이런 일이 다가오지 않을 거란 생각을 해왔었다"며 "죽음이 가상으로 주어진다면 나는 어떻게 할까, 즉 '나'에 대한 궁금함이 커졌다. 단순이 예능이라기보다 제 자신을 들여다보는 계기가 되지 않을까 해서 출연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그는 또한 "PD님이야 시청률도 신경쓰셔야 겠지만, 나 개인적으로는 출연만으로도 충분히 좋은 경험이었다"고 말했다.


이어 성시경은 "만약 죽음까지 내게 48시간이 남는다면 부모님을 찾아가서 자초지종을 설명할 것 같았다. 가족이 1번"이라며 "48시간 시한부 인생이 누군가에게 실제로 주어진다면 나이에 따라 받아들이는 게 다를 듯한데, 제 나이에는 '못한 것에 대한 아쉬움'이 무엇보다 클 것 같다. 죽는데 후회하면 뭘하냐. '그 때 그걸 했어야 하는데' 하는 생각을 할 것 같다"고 말했다.

탁재훈은 솔직했다. 그는 "처음에 제안을 받았을 때 영화 시나리오 같아서 거절을 했다. 예능으로 풀어내지 못할 것 같았다"며 "그러나 실제로 이런 날이 올 수도 있구나하고 생각해 보니까 몰입이 되더라. 내가 어떻게 살아보기를 돌아보기엔 참 좋은 기회였다"고 말했다.


전성호 PD는 3명의 MC에 대해 "먼저 이미숙, 탁재훈, 성시경은 죽음이라는 소재에 대해 호응해 주신 분들"이라며 "세분을 만나본 결과 모두 속이 알차다. 첫 녹화 이후 이미숙 선생님은 '누나'가 됐고, 탁재훈 형님은 '형'으로, 성시경 씨는 '성시경'이 됐다"고 말해 웃음을 자아냈다. PD는 이어 "멋진 누나, 잘노는 형, 똑똑한 동생의 시너지가 기대된다"고 만족감을 드러냈다. 또한 "사실 생뚱맞은 이야기라고 생각하실 수는 있다"며 "분명한것은 시청자들께서 위로를 받으실 것이라는 점이다. '난 괜찮게 살았어'라는 말을 스스로에게 속삭일 수 있는 계기를 드리고 싶다"고 말했다. 눈물과 교훈, 감동과 웃음까지 잡을 신개념 예능 '48시간'에 많은 기대가 모인다. 30일 오후 11시 첫 방송.

ssalek@sportschosun.com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