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40회 청룡영화상 최고의 유행어는 뭐니 뭐니 해도 "'기생충'이 받을줄 알았는데…"라는 수상 코멘트였다. 한국 영화 최초 칸영화제 황금종려상을 수상한 봉준호 감독의 '기생충'은 누구도 부정할 수 없는 유력한 수상작이었으며 후보들에겐 강력한 경쟁상대였기 때문. 더구나 올해 여우조연상은 많은 사람이 예상했던 결과에서 벗어나지 않았다. 이변 없이, 그리고 이견 없이 여우조연상은 배우 이정은(49)에게 돌아갔고 모두의 진심 어린 축하를 받으며 스포트라이트를 받았다.
|
|
|
지금의 이정은은, 그리고 '기생충'의 문광을 만들어준 봉준호 감독. 이정은과 봉준호 감독과 인연은 '마더' 때부터 시작됐다. '마더'에서 죽은 아정의 친척으로 등장한 그는 화장터에서 상복을 입은 안경 쓴 중년 여성으로 변신해 도준 모(김혜자)의 멱살을 잡는 장면 하나로 관객에게 강렬한 인상을 남겼다. 이후 '옥자'에서는 슈퍼돼지 옥자의 목소리를 연기, 명실상부 '봉준호 감독의 페르소나'로 등극했다.
이정은은 "사실 내겐 봉 감독은 어려운 사람이다. 감독과 배우의 사이이니까 당연히 어려울 수밖에 없는 관계다. '기생충'까지 세 작품 호흡을 맞췄지만 서로 사적인 이야기를 안 하는 편이다. 어떨 때 가끔 서로의 반려견 사진을 교환할 뿐이다. 봉 감독 성향 자체가 타인의 사생활에 대해 사근사근 묻는 편도 아니고 늘 언제나 작품에 대해서만 이야기를 한다. 어떤 스토리, 어떤 장면에 대한 이야기, 혹은 영화 추천 등에 주로 이야기를 나누는 편이다. '마더'를 찍고 난 뒤였을까? 한 번은 뒤풀이 자리에서 술을 많이 먹고 동년배인 봉 감독에게 '우리는 친구야'라고 했다가 술 깨고 난 뒤 엄청 후회했던 기억이 있다. 다음날 바로 '감독님, 안녕하세요'라고 말하며 이전과 같은 모드로 돌아갔다"고 웃픈 에피소드를 전했다.
그는 "같은 나이임에도 불구하고 늘 볼 때마다 봉 감독은 존경스럽다. 천재적인 사람인데 그만큼 노력도 하는 사람이다. 여기에 굉장히 예의가 바르고 선배들에게도 잘한다. 한국 영화 100년의 역사를 정말 자랑스럽게 생각하는 분이며 배우들에게 칭찬을 많이 해주는 감독이기도 하다. 배우들이 저절로 춤을 추게 만드는 마법사 같은 감독이다"며 "여우조연상을 수상한 뒤 서로에게 낯부끄럽고 살가운 축하 인사를 건네지는 못했지만 봉 감독은 '문괭~, 축하해요'라며 애칭을 불러주더라. 봉 감독은 늘 나를 '문괭~'이라는 애칭으로 불러준다. 늘 감사하고 그의 작품에 출연할 수 있어 영광이었다"고 감사의 인사를 덧붙였다.
|
이렇듯 올해 봉준호 감독과 함께 칸, 청룡의 무대를 달구게 된 이정은. 그렇다면 과연 그는 자신의 수상을 예측했을까. 유행어처럼 '기생충'이 받을 줄 알았던 것일까. 이정은은 "청룡영화상 당일 함께 후보에 오른 후보군의 자리를 쓱 보게 됐다. 솔직하게 내가 생각한 유력 수상자는 '벌새'(김보라 감독)의 김새벽이었다. 이미 해외 영화제에서도 상을 많이 받았고 특히 김새벽은 영화계에서 두각을 나타낸 친구이지 않나? 또 이하늬도 내 마음속 유력한 후보였다. '극한직업'(이병헌 감독)을 너무 재미있게 봤다. 김새벽과 이하늬가 서로 각축을 벌이겠다 여겼는데 웬걸, 내가 받게 됐다"고 답했다.
이어 "물론 나도 수상 욕심이 조금은 걸쳐 있었다. 사람이란 게 정말 욕심이 끝도 없는 것 같다. 그런데 앞으로는 더 못 받을 것 같기도 하다. 나는 개인적으로 조연이라는 역할이 너무 좋다. 주연은 책임도 크고 여러모로 힘들 것이다. 그렇다고 책임을 안 지겠다는 것은 아니지만 서로의 파트가 모인다는 의미에서 주연, 조연의 개념이 앞으로는 점점 사라질 것이고 주연이 조연이 되고 조연이 주연이 되는 경우도 많을 것이다. 어떤 상황에서도 내가 조연으로 불리는 것 자체가 너무 좋다. 그동안 큰 욕심이 없었는데 이렇게 내가 원하는 파트에서 상을 받고 나니 너무 기쁘다"고 만족감을 드러냈다.
|
조지영 기자 soulhn1220@sportschosun.com
▶사주로 알아보는 내 운명의 상대
▶눈으로 보는 동영상 뉴스 핫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