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포츠조선 고재완 기자] 외국인 예능 전성시대다. 각 방송사들도 앞다퉈 외국인 출연 예능을 만들어내고 있다.
사실 '탑골 외국인 예능'이라고 할수 있는 KBS2 '미녀들의 수다'(이하 미수다) 이후 명맥은 꾸준히 이어져왔다. '미수다'시리즈는 에바, 크리스티나, 따루, 구잘 등 외국인 스타까지 만들어내며 2006년부터 2010년까지 큰 인기를 모았다.
|
'어서와'는 사실 '두유노 강남스타일' '두유노 기생충'의 예능판이라고 할수 있다. 한국으로 여행을 온 외국인들이 방송 내내 '한(韓)비어천가'를 부른다. 실례로 한국에 대해 지적을 하는 내용이 전파를 탄 에피소드에는 시청률이 하락하는 현상을 확인할 수 있다. 반대로 한국을 칭찬하는 장면이 많이 등장한 회차는 시청률이 상승하는 경향이 확연하다. 특히 핀란드편은 핀란드 친구들이 한국에 반하는 모습이 그려지며 큰 화제를 모으기도 했다.
'어서와'가 인기를 모으자 MBC 에브리원은 외국인 퀴즈쇼인 '대한 외국인'을 지난 2018년 10월 론칭했고 1%대의 시청률을 기록하며 여전히 선전하고 있다. SBS 플러스에서는 '맨땅에 한국말'을 지난달 25일부터 편성했다. tvN은 외국인과 K-POP을 접목시킨 '케이팝어학당-노랫말싸미'를 지난달 10일부터 시작했다.
'대한외국인'은 한국인보다 더 한국인 같은 외국인 10인과 한국 스타 5인의 퀴즈쇼 형식이다. '맨땅에 한국말'은 한국을 사랑하는 각 나라 대표 미녀들이 펼치는 좌충우돌 한국말 배우기 프로젝트를 콘셉트로 하고 있다. 10일 방송에는 외국인 출연자들이 잡채, 계란말이, 소갈비찜 등 한국 가정식 백반 상차림을 먹고 한국에서의 생활에 대한 고민도 털어놨다.
|
한 방송 관계자는 "최근 외국인 예능들은 외국인들의 '한국 사랑'을 표현하는 방식으로 시청자들의 관심을 끌고 있다"며 "워낙 해외에서 한국을 어떻게 보는지에 대한 대중들의 관심이 높기 때문에 프로그램 콘셉트도 자연스럽게 그 방향으로 포커스가 맞춰질 수밖에 없다"고 전했다.
하지만 외국인 예능이 천편일률적인 모습만 보인다면 인기는 금세 시들해질 것이 자명한 일이다. 단순히 외국인이 출연하는 것이 그치지 않고 새로운 콘셉트를 만들어내는 것이 중요해졌다.
고재완 기자 star77@sportschosun.com
▶무료로 알아보는 나의 운명의 상대
▶눈으로 보는 동영상 뉴스 핫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