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포츠조선 이승미 기자]잠재력을 터뜨렸던 박찬욱, 봉준호, 최동훈 등을 감독 사례를 들며 리스크가 있는 영화제작을 꺼리는 한국 영화계의 현재 제작 풍토를 보완하고 '포스트 봉준호' 시대를 여는 새 기획으로 뉴K시네마 프로젝트의 필요성을 피력했다.
또한 감독들은 뉴K시네마 등을 통한 한국영화의 다양성 확보와 영화산업의 지속성장을 위해 영화발전기금의 부과금 징수기한 연장과 신규재원 확보 방안의 필요성에 대해 술회했다. 영화발전기금은 영화상영관입장권 부과금으로 영화상영관입장권 가액의 100분의 3을 징수한다. 하지만 올해 12월 31일 징수기한이 만료될 예정인데다 코로나19 확산에 따라 피해회복 지원을 위한 사업비가 확대되면서 향후 1~2년 내 기금이 고갈될 것으로 예상되는 상황이다. 추가재원 확보를 위해 국고 출연이나 방송통신발전기금 전입, 디지털온라인시장 부과금 부과 등 새로운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는 의견이 제시되었다.
국회에서는 2028년까지 영화상영관입장권 부과금 징수기한을 연장하는 내용의 법안을 박정 의원이 대표 발의했으며, 방송통신발전기금의 영화발전기금으로의 출연을 주요 내용으로 하는 최형두 의원의 법안 발의가 진행 중이다. 또한 특수유형부가통신사업자를 통해 제공되는 동영상 콘텐츠의 이용자에 부과금을 징수하여 코픽에 부과금을 납부하는 것을 주요내용으로 하는 김영주 의원의 법안도 발의된 상태다.
▶재테크 잘하려면? 무료로 보는 금전 사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