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건 경쟁이고 리얼리티이니까…"
오는 28일 오후 8시 20분 첫 방송되는 MBC '방과후 설렘'은 글로벌 걸그룹 오디션 프로그램이다. 1학년부터 4학년까지 총 83명의 연습생이 출연, 프리퀄 '등교전 망설임'을 통해 각양각색의 매력으로 국내외 팬들에게 인기몰이 중이다.
또 가수 옥주현을 시작으로 권유리 (소녀시대 유리), 아이키, (여자)아이들 소연 등 역대급 담임 선생님 라인업을 구축했고, 배우 윤균상이 데뷔 후 첫 단독 MC로 출연을 확정 지으며 방송 전부터 기대를 불러일으키고 있다.
-새로운 아이돌 오디션을 준비하며 기획사 미팅을 진행했다고 들었다. 요즘 도전자(출연 희망자)들과 기획사들의 자세가 기존 오디션 프로그램 당시와 달라진 점이 있다면.
아무래도 '프로듀스101'을 처음 시작하던 시기에는 해보지 않았던 새로운 방식의 오디션 프로그램에 대한 거부감과 기획사에서 약간 어려워하는 분위기가 있었다면 요즘에는 오디션 프로그램에 열려 있고 적극적으로 대하는 느낌이다. K-팝의 위상이 많이 올라간 덕분에 어린 친구들도 관심도 많아졌고 외부에서 배울 수 있는 곳도 많아서 잘하는 친구들이 많고 수준도 높아졌다.
-'믹스나인'이라는 제목의 아이돌 오디션으로 한차례 실패를 경험한 적이 있다. 당시 실패의 이유를 무엇이라고 분석하나.
제작한 것 중에 '믹스나인' 말고도 안된 게 많은데 '믹스나인'처럼 안된 걸로 이렇게 화제가 되는 것도 특이한 경우인 것 같다.(웃음) 다른 분들과 마찬가지로 나 또한 실패와 성공을 반복하면서 학습하고 발전한다고 생각한다.
-아이돌 오디션의 인기를 끌어올리기 위한 계획을 세워 놨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구체적인 방안이 아니라 선행돼야 할 조건이 있다면 어떤 게 있을까.
우리 프로그램에는 룰이 있지만 그 룰이 세상에서 제일 공정한 룰이라고는 생각하지 않는다. 누군가에겐 유리한 룰이 될 수도 있고 또 누군가에겐 불리한 룰이 될 수도 있다. 하지만 우리가 만든 그 룰 안에서는 공정해야 된다고 생각한다. 이 부분을 이해하면 이 프로그램을 충분히 재밌게 즐길 수 있을 거라 생각된다.
|
출발선이 다른 건 인정하지만 뛰기 시작하면 똑같은 룰을 적용한다. 녹화장부터 경쟁이니까. 이건 경쟁이고 리얼리티 프로그램이니까 시청자들이 이 현장에서 어떤 일이 있었는지 알 수 있게 보여지는 그 감정의 심도는 진짜여야 한다고 생각한다.
-'글로벌 걸그룹 론칭'을 프로그램의 목표로 잡았다. 오디션을 걸그룹으로 특정한 이유는.
전 세계의 팬덤을 갖는 아이돌, 그런 그룹을 만드는 게 목표이다. 글로벌 팬덤을 형성해서 국내외 팬들에게 영향력을 줄 수 있는 걸그룹을 만들고 싶다.
-YG를 떠나 펑키스튜디오를 설립했다. 펑키스튜디오의 제작 지향점은.
엠넷에 근무하는 동안 항상 음악에 관한 콘텐츠를 만들었다. 그게 제일 잘하는 거라고 생각하기도 하고 사실 다른 건 잘 못한다. 음악을 다루거나 음악을 직접적으로 다루진 않더라도 음악과 연관이 있는 콘텐츠를 계속 만들어가고 싶다.
- 한동철의 아이디어는 달랐다. 오은영 박사를 아이돌 오디션에 영입하는 건 쉬운 일이 아니었을 것 같은데. 설득한 방법과 이번 오디션에 오은영 박사의 역할에 대해 구체적인 설명해 달라.
오은영 박사 섭외는 굉장히 힘들었다. 엄청 많이 찾아가고 매달렸다. 오디션과 오은영 박사라는 이질감이 있는 두 존재의 만남을 방송으로 풀면 재밌을 것 같다고 생각했다.
이정혁 기자 jjangga@sportschosun.com
|
엠넷에 근무하는 동안 항상 음악에 관한 콘텐츠를 만들었다. 그게 제일 잘하는 거라고 생각하기도 하고 사실 다른 건 잘 못한다. 음악을 다루거나 음악을 직접적으로 다루진 않더라도 음악과 연관이 있는 콘텐츠를 계속 만들어가고 싶다.
- 한동철의 아이디어는 달랐다. 오은영 박사를 아이돌 오디션에 영입하는 건 쉬운 일이 아니었을 것 같은데. 설득한 방법과 이번 오디션에 오은영 박사의 역할에 대해 구체적인 설명해 달라.
오은영 박사 섭외는 굉장히 힘들었다. 엄청 많이 찾아가고 매달렸다. 오디션과 오은영 박사라는 이질감이 있는 두 존재의 만남을 방송으로 풀면 재밌을 것 같다고 생각했다.
-공백에 따른 부담감도 있을 듯한데.
사실 겁나기도 하고 설레기도 한다. 오랜만에 네이버와, 엠비씨라는 좋은 채널에서 좋아하는 프로그램을 할 수 있게 되어서 좋다.
이정혁 기자 jjangga@sportschosun.com
2022 임인년 신년운세 보러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