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포츠조선 고재완 기자] 적막 같던 극장가에 한줄기 빛이 드리우고 있다.
지난 달 3일 개봉한 영화 '닥터 스트레인지: 대혼돈의 멀티버스'(닥스2)는 개봉 한 달이 다 돼가지만 아직 극장에 걸려있다. 누적 관객수는 575만 4421명(이하 영진위 통합전산망 집계·30일 오전 12시 기준)이다. 펜데믹이 한창이던 지난 해 개봉했던 '스파이더맨: 노 웨이 홈'(이하 스파이더맨3)보다 빠른 속도로 관객수를 늘려갔다. 이미 전 편인 '닥터스트레인지'의 기록 544만명은 넘어선 지 오래다.
하지만 '닥스2'의 선전은 '스파이더맨3'의 기억으로 인해 평가 절하됐다. 펜데믹 중심에서도 755만 관객을 모았던 '스파이더맨3'는 마블 영화에 유난히 애착을 보이는 한국 관객으로 인한 성적이었기 때문이다. 올 초 후속 기대작이 없던 극장가는 다시 하락세를 탔다. '닥스2' 역시 극장가에서는 '반짝' 흥행처럼 보일 수밖에 없었다. 게다가 '닥스2'의 주말 드롭율은 50%에 육박하면서 '스파이더맨3'의 누적 관객 기록을 넘어서기도 힘들어 보인다.
'범죄도시2'의 행보는 한국 영화 흥행 수준을 펜데믹 이전 수준으로 돌려놨다는데 큰 의의가 있다. 펜데믹 이전에 개봉했던 '기생충' 이후 한국영화 최고 오프닝은 물론 개봉 12일째 600만 관객을 돌파했고 주말 관객수도 꾸준히 유지하고 있다.
|
칸영화제는 순수 예술 영화보다는 '기생충'처럼 어느 정도 상업성이 담보된 영화를 선호한다. 게다가 태작이 없는 송강호의 영화라는 점, 강동원, 아이유, 배두나 등 관객 동원력이 충분한 배우들이 등장하는 작품이라는 점에서 '브로커'의 흥행은 기대해볼만 하다.
'헤어질 결심' 역시 '공동경비구역JSA'로 1000만 관객을 넘기고 '올드보이 ' '박쥐' '아가씨' 등 이후에도 꾸준히 작품을 흥행시킨 저력의 감독이다. 여기에 탕웨이라는 스타를 캐스팅해 기대감은 최상인 상태다.
|
극장 부활의 필수 조건, 흥행작들이 연이어 등장해 극장에 관객의 발길이 끊기지 않아야 한다는 것이다. '대박'을 터뜨리지 않는 다른 영화들도 극장에 발을 들여놓는 관객이 있어야 힘을 받을 수 있다. 정부의 지원도, 해외 영화제의 수상도 중요하지만 관객들이 극장에서 영화를 봐야 극장가가 일어설 수 있다. 그런 의미에서 2022년 6월은 한국 영화산업의 가장 중요한 한 달로 기록될 수도 있다.
고재완 기자 star77@sportschosun.com
▶ 당신은 모르는 그 사람이 숨기고 있는 비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