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조선

'韓 복귀 실패' 안현수 "러 귀화 결정 후 수령한 연금 일시금 전액 기부"[전문]

이유나 기자

기사입력 2023-02-07 09:22 | 최종수정 2023-02-07 09:28


'韓 복귀 실패' 안현수 "러 귀화 결정 후 수령한 연금 일시금 전액 기…

[스포츠조선 이유나 기자] 쇼트트랙 국가대표 출신 안현수가 최근 한국 복귀가 실패한 가운데 러시아 귀화 가운데 연금 일시금 수령에 대한 논란에 직접 해명했다.

7일 안현수는 "빅토르 안 <안현수> 입니다"라고 자신의 러시아 이름을 앞에 쓰면서 "채용 과정이 진행 중이어서 자칫 오해의 소지를 불러일으킬 수 있다는 판단하에 발표가 난 후 말씀을 드리려 침묵할 수밖에 없었습니다"라고 뒤늦게 바로잡고 싶은 오해를 설명했다.

그는 "30년간 오롯이 운동만 하며 살아왔고 성격상 제 목소리를 내는 게 어려운 일입니다"라며 "가장 논란이 되고 있는 부분에 관하여 그 과정을 한치의 거짓 없이 말씀드리겠습니다"라고 운을 뗐다.

안현수는 "2011년 6월 러시아로 출국을 하였고, 러시아 빙상연맹 회장님을 뵈어 앞으로의 훈련 계획에 대해 대화를 나누던 중 '귀화 제안' 을 받았다"며 "러시아 팀에 있는 <러시아, 호주 이중국적자> 인 타티아나 보루돌리나 여자 선수를 말씀해 주셨습니다. 그래서 이중국적이 가능한 줄 알고 알아본 것이 사실"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저는 그 선수처럼 <특별 사례> 에 해당되지 않는다는 것을 알게 된 후 많은 고민 끝에 좋은 운동 환경과 함께 훈련 할 수 있는 팀 그리고 저를 믿어주시는 알렉세이 크라프초프 회장님의 진심을 느껴 <7월에 귀화 결정> 을 하고 수령한 일시금은 돌려드리는 게 맞다 판단되어 <심장수술이 필요한 아이와 재활 및 치료가 필요한 운동선수 후배> 에게 전액 기부를 했었다"고 설명했다.

그런데 귀화 절차가 진행되는 것이 8월에 러시아측 기사로 알려지면서 한국측에선 연금을 7월에 먼저 수령하고 8월에 귀화를 결정한 것처럼 잘못 알려졌다는 것. 안현수는 "귀화가 알려진 것은 8월이지만 7월에 모든것을 결정하고 절차대로 진행하였습니다"라며 "앞으로도 어떠한 이유에서든 귀화를 선택해 받아야하는 국민들의 비판을 겸허히 수용할 것이며 이런 오해들은 쌓이지 않도록 최대한 목소리를 내도록 노력하겠습니다"라고 강조했다.

앞서 빅토르 안은 상남시청 빙상팀 코치직에 지원하며 국내 복귀를 노렸지만 실패했다.


'韓 복귀 실패' 안현수 "러 귀화 결정 후 수령한 연금 일시금 전액 기…
성남시는 지난달 공석인 빙상팀 코치 1명을 공모했는데 여기에 빅토르 안과 김선태 전 국가대표 감독 등이 포함됐다. 하지만 한국빙상지도자연맹에서 빅토르 안과 김 전 감독에 대한 반대 성명을 내면서 논란이 불거졌다.


연맹은 "빅토르 안이 러시아 귀화 전 올림픽 금메달 연금을 일시금으로 받아갔고, 김 전 감독은 대표팀 사령탑 시절 심석희의 폭행 피해를 허위 보고해 징계를 받았다"면서 도덕성 차원에서 국내 지도자 자격이 없다고 주장했다.

논란이 커지자 성남시는 이들을 최종 후보에서 제외했다. 시 관계자는 "서류와 면접 심사를 통해 기술, 소통 능력 등 여러 요소를 종합해 판단했다"며 "빙상계 여론과 언론 보도 등을 통해 나오는 시각도 평가에 반영됐다"고 밝혔다.

한편, 빅토르 안은 2006년 토리노 동계올림픽에서 금메달 3개를 획득한 한국 쇼트트랙의 간판스타다. 2011년 당시 소속팀이던 성남시청이 재정 문제로 빙상팀을 해체하자 선수 생활을 이어가기 위해 러시아로 귀화한 뒤 2014년 소치 동계올림픽에서 3관왕에 올랐다. 이후 2018년 평창동계올림픽 출전이 무산된 이후 빅토르 안은 선수 은퇴를 선언한 뒤 지도자로 변신했고, 2022 베이징동계올림픽에서 중국 대표팀 기술코치로 활동한 바 있다.

김선태 전 감독은 2018 평창동계올림픽에서 한국 쇼트트랙 대표팀을 이끌었고, 2022 베이징동계올림픽에선 중국 대표팀 감독으로 활동한 경력에 한국 빙상팀을 맡는 것에 대한 찬반 논란이 일었다.

▶이하 안현수 러시아 귀화 관련 전문

안녕하세요.

빅토르 안 <안현수> 입니다.

모두가 힘든 시기에 최근 시끄러운 이슈로 이름이 오르게 되어 죄송스럽게 생각합니다.

궁금해하시는 부분들을 답변드리지 못한 이유는 채용 과정이 진행 중이어서 자칫 오해의 소지를 불러일으킬 수 있다는 판단하에 발표가 난 후 말씀을 드리려 침묵할 수밖에 없었습니다.

저는 30년간 오롯이 운동만 하며 살아왔고 성격상 제 목소리를 내는 게 어려운 일입니다. 그 결과 <사실이 아닌 부분들이 마치 사실처럼 비쳤고> 지금 가장 논란이 되고 있는 부분에 관하여 그 과정을 한치의 거짓 없이 말씀드리겠습니다.

저는 2011년 6월 러시아로 출국을 하였고 러시아 빙상연맹 회장님을 뵈어 앞으로의 훈련 계획에 대해 대화를 나누던 중 <귀화 제안> 을 하시면서 러시아 팀에 있는 <러시아, 호주 이중국적자> 인 타티아나 보루돌리나 여자 선수를 말씀해 주셨습니다. 그래서 이중국적이 가능한 줄 알고 알아본 것이 사실입니다.

하지만 저는 그 선수처럼 <특별 사례> 에 해당되지 않는다는 것을 알게 된 후 많은 고민 끝에 좋은 운동 환경과 함께 훈련 할 수 있는 팀 그리고 저를 믿어주시는 알렉세이 크라프초프 회장님의 진심을 느껴 <7월에 귀화 결정> 을 하고 수령한 일시금은 돌려드리는 게 맞다 판단되어 <심장수술이 필요한 아이와 재활 및 치료가 필요한 운동선수 후배> 에게 전액 기부를 했었습니다.

그런데 귀화 절차가 진행되는 것이 8월에 러시아측기사로 알려지면서 한국측에선 연금을 7월에 먼저 수령하고 8월에 귀화를 결정한 것처럼 잘못 알려졌습니다. 귀화가 알려진 것은 8월이지만 7월에 모든것을 결정하고 절차대로 진행하였습니다.

저는 귀화 후에 언론에 서는 것이 더 조심스러웠고 운동에만 전념하는 게 옳다고 생각했습니다.

앞으로도 어떠한 이유에서든 귀화를 선택해 받아야하는 국민들의 비판을 겸허히 수용할 것이며 이런 오해들은 쌓이지 않도록 최대한 목소리를 내도록 노력하겠습니다.

lyn@sportschosun.com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