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코로나19 팬데믹이 글로벌 게임 시장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 것이 다시 한번 입증됐다.
글로벌 모바일 시장 데이터 분석 기업 센서타워(Sensor Tower)는 지난 한 해 국내 모바일게임 시장 동향을 분석한 '2022년 한국 모바일게임 시장 인사이트' 리포트를 13일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2021년 한국 모바일게임 시장은 2019년 팬데믹 이전보다 연간 소비자 지출이 무려 45% 증가한 58억 달러(약 7조 5700억원)에 달할 정도로 포스트 팬데믹 시대에 진입한 이후 수익 면에서 성과가 가장 좋았던 한 해였던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북미, 일본, 유럽 시장과 마찬가지로 국내 모바일게임 시장 전체 수익은 2022년부터 하락세가 나타나며 53억 달러(약 6조 9200억원)의 수익을 올리는 데 그친 것으로 밝혀졌다. 전체적으로 8.6% 정도 줄어든 가운데, 특히 안드로이드 소비자 지출이 12% 하락세를 보였다. 수익 점유율에서는 iOS 사용자와 안드로이드 사용자가 각각 20.4%와 79.6%를 차지했다.
지난해 국내 모바일게임 시장에서 다운로드 수는 5억 2000만회를 기록, 전년 동기보다 5.2% 하락했다. 안드로이드 기기의 모바일게임 다운로드 수가 8.3% 감소한 반면 iOS 기기의 모바일게임 다운로드 수는 8.3% 증가했다. iOS와 안드로이드 사용자의 다운로드 점유율은 각각 21.1%, 78.9%로 2021년과 비교하면 iOS 시장의 점유율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 시장에선 총 14개의 국산 모바일게임이 2022년 모바일게임 수익 랭킹 TOP 20에 들었고, 이 가운데 '리니지W', '리니지M', '오딘: 발할라 라이징'이 1위부터 3위를 차지했다. 2022년 한국 시장에서 1억 달러의 수익을 돌파한 7개 모바일게임 가운데 MMORPG가 5개로 가장 많았으며, 나머지는 액션과 스포츠가 각각 차지했다. MMORPG는 한국에서 가장 수익이 높은 RPG 하위 장르로, 4년 연속 한국 모바일게임 총수익의 80% 가까이 차지했다.
Habby가 출시한 로그라이크 핵 앤드 슬래시 게임 '탕탕특공대'는 빠르게 한국 모바일게임 플레이어들의 사랑을 받으며 지난해 한국 모바일게임 다운로드 랭킹 1위에 올랐다. 한국에서 이미 500만회 가까이 다운로드된 '탕탕특공대'의 뒤를 이어 '포켓몬 GO'와 '로블록스'가 각각 차트 2위와 3위를 차지했다. 이밖에 지난해 국내 모바일게임 다운로드 랭킹에 오른 상위 20개 게임 가운데 5개는 신규 게임이었으며 각각 액션, RPG 및 전략 등 다양한 장르에 걸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정석 기자 bluesky@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