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서울=연합뉴스) 송광호 기자 = ▲ 운동하는 사피엔스 = 대니얼 리버먼 지음. 왕수민 옮김.
대니얼 리버만 하버드대 인간진화생물학과 교수가 쓴 '운동하는 사피엔스'는 진화생물학과 인류학의 관점에서 운동에 관한 진실을 파헤친 책이다. 저자는 근력, 지구력, 나아가 운동 잘하는 방법까지 운동에 관한 다양한 내용을 설명한다.
저자는 '우리는 운동하도록 진화했다' '우리는 매일 8시간은 자야 한다' '스포츠도 곧 운동이다' '걷기로는 살을 뺄 수 없다' '달리기는 무릎에 나쁘다' '나이 들수록 몸을 덜 움직이는 게 정상이다'와 같은 12가지 통념을 미신이라고 규정하고, 이에 대한 이유를 상세히 설명한다.
프시케의숲. 644쪽.
▲ 어쩌면 세상을 구할 기생충 = 스콧 L. 가드너·주디 다이아몬드 등 지음. 김주희 옮김.
현대 인류는 기생충을 과거만큼 흔하게 볼 수 없게 됐지만, 지구상 모든 자연 생태계에서 기생충은 흔하다. 일부 추정치에 따르면 모든 생물의 약 40%가 기생충이다.
그 수는 어마어마하다. 가령 선충류는 "지구 한쪽 끝부터 반대쪽 끝까지 늘어놓을 수 있을 정도로 많고, 1미터당 1마리씩 배열하면 은하계도 가로지를 수 있다"고 한다.
이런 기생충들은 지구 진화 역사에 관한 단서, 그리고 종간 상호작용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한다고 미국의 기생충 전문가들인 저자들은 말한다.
책은 지구 생태계에서 필수적인 역할을 하는 기생충에 대해 깊이 있게 해설했다.
저자들은 기생(寄生)은 숙주의 희생을 전제로 하지만, 더 깊이 들여다보면 이들의 관계는 공생(共生) 혹은 상생(相生)인 경우가 많다고 설명한다. 예컨대 숙주의 면역계를 자극해 낯선 미생물을 물리치거나, 숙주가 섭취한 낯선 먹이가 에너지로 전환되도록 돕는 등 기생충이 숙주의 생존에 필수적인 역할을 한다는 것이다.
"기생충은 환경 조건이 변화하는 혼란하고 예측 불가능한 세계에 숙주가 적응하도록 돕는다…가혹한 환경은 지구에 서식하는 고등 생물에게 새로운 표준으로 자리 잡았다. 숙주가 체내 기생충에게 희생당하는 자원은 두 생물 간의 협력 관계로 얻는 이익과 비교하면 대수롭지 않을 수 있다."
코쿤북스. 272쪽.
buff27@yna.co.kr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