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조선

[이런말저런글] 빛을 되찾았다, 광복(光復)입니다

기사입력 2025-08-15 07:56

[촬영 안 철 수, 상업적 이용금지/보도전용/재판매 및 DB금지] 전쟁기념관/육군박물관, 제공전시물


광복(光復)은 '빛이 되돌아왔다' '빛을 되찾았다'를 뜻합니다. '빼앗긴 주권을 도로 찾음'이라고 사전이 정의한 이유를 알겠습니다. 일제 강점에서 벗어나 1945년 8월 15일 주권을 되찾은 지 80년입니다. 매해 8월 15일을 우리는 국경일로 기념합니다. 바로 오늘, 광복절입니다. 정부 수립 이듬해인 1949년 10월 국경일에 관한 법률이 제정 공포됩니다. 법에 따라 광복절 하고 절(節)이 붙었습니다. 삼일절, 제헌절, 개천절처럼요. 원래 절은 천추절(千秋節), 만수절(萬壽節) 하여 중국 황제의 생일을 일컬었다는 이야기가 전합니다.

광복과 비슷한 말로 독립(獨立)이 쓰입니다. 독자적으로 존재한다는 겁니다. 홀로 선다는 겁니다. 다른 것에 예속하거나 의존하지 아니하는 상태로 된다는 겁니다. '한 나라가 정치적으로 완전한 주권을 행사한다'를 의미하기도 합니다. 타국으로부터 자립한 신생국에 어울리는 말이라 광복의 유사어로 써선 곤란하다는 견해가 있습니다. 애초 독립국이던 나라가 강탈당한 주권을 되찾는 것이 광복이므로 둘은 다르다는 게 논거입니다. 그러나 김구 선생의 '나의 소원은 대한 독립'만 떠올려 봐도 독립을 못 쓸 까닭은 없습니다.

구속이나 억압, 부담 따위에서 벗어난다는 해방(解放). 이 낱말도 광복과 같은 뜻으로 쓰인다고 사전은 설명합니다. '일본의 항복으로 우리는 해방을 맞았다' 하는 보기글을 전하면서요. 연장선에서 '제2차 세계대전 종전으로 독일인들은 나치로부터 해방되었다' 하는 문장도 만들 수 있습니다. 해방은 해방되다, 해방된 날 하는 표현에서 보듯 피동, 수동의 의미가 강하다는 분석이 있습니다. 적극적이고 능동적인 광복과 비교됩니다. 북한에서는 광복절을 조국해방의 날이나 조국해방기념일이라고 합니다. 광복, 독립, 해방은 제 색깔이 있는 단어입니다. 광복절, 독립기념관, 해방둥이 하는 게 자연스럽습니다. 독립절, 해방기념관, 광복둥이 하면 어색합니다. (서울=연합뉴스, 고형규 기자, uni@yna.co.kr)

※ 이 글은 다음의 자료를 참고하여 작성했습니다.

1. 법제처 홈페이지 지식창고, 광복.독립 그리고 해방 : 법제수상(저자 : 김기표) 2009년 1월 1일 등록 - https://www.moleg.go.kr/mpbleg/mpblegInfo.mo?mid=a10402020000&mpb_leg_pst_seq=130640

2. 연합뉴스 기사 : 북, 광복절 앞두고 항일투쟁 띄우기…"자력각본생 사상 원천" (송고 2025-08-09 07:57) - https://www.yna.co.kr/view/AKR20250809014500504

3. 표준국어대사전

4. 고려대한국어대사전

<연합뉴스>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