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서 교수는 "해외 직구라는 이름으로 단순히 플랫폼만 제공했다고 해도 역사적 상징물에 대한 검증 책임에서 벗어날 수 없다"며 국내 기업이 욱일기 문양 상품을 판매하는 것은 일본 측에 욱일기 사용 명분만 제공하는 꼴이라고 우려했다.
그는 기업의 이윤 추구가 정당하다 하더라도 판매 대상국의 역사와 국민 정서를 고려하는 기본적 책임이 필요하다며 "욱일기는 군국주의의 상징으로, 국내 기업이 먼저 조심하고 신속히 시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phyeonsoo@yna.co.kr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