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부에서는 정지희 성북마을아카이브팀장과 이아름 국립공주대 공주학연구원 전문연구원이 각각 서울시 성북구와 충남 공주 지역의 아카이브 사례를 발표한다.
강만익 제주중앙여고 교사, 백종진 제주문화원 사무국장, 양승현 제주마을만들기종합지원센터 팀장, 우승현 서귀포시 중앙동 도시재생현장지원센터 활동가, 황이새 제주민속자연사박물관 학예사, 김미진 제주학연구센터 전문연구위원이 2부에서 토론한다.
그동안 제주에서는 변형되거나 훼손 위험이 있는 민간 기록물의 데이터 구축 필요성이 꾸준히 제기돼 왔다. 더불어 마을 자원의 체계적인 기록화와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에 대한 지역 사회의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김완병 제주학연구센터장은 "제주도 내 공공기관, 학계, 민간 등 다양한 기록 주체들이 추진 중인 기록화 활동을 함께 논의함으로써 제주 지역에 적합한 아카이빙 모델을 마련하고자 한다"고 말했다.
khc@yna.co.kr
<연합뉴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