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리그는 우즈베키스탄전 전까지 말그대로 '사색'이 되어 있었다. 다름 아닌 '밀린 숙제' 때문이다. 6일 현재 K리그 클래식은 팀당 27경기씩을 치렀다. '윗물'과 '아랫물'의 분기점인 33라운드까지 6번의 라운드가 남아 있다. 스플릿 이후에도 5차례 라운드를 거쳐 최종 순위를 확정한다. 신태용호 조기소집으로 8월 중순부터 휴식기에 들어가 3주를 쉬었다. 오는 주말 리그 일정을 시작하지만 1주일에 1경기씩을 치러도 모든 일정이 11월 중순에야 마무리 된다. 클래식 11위 팀과 챌린지(2부리그) 플레이오프 승자 간의 홈 앤드 어웨이 승강전 일정까지 감안하면 11월 말 종료가 유력하게 점쳐지고 있다.
신태용호의 불안한 걸음이 문제였다. 최종예선에서 3위에 그쳐 B조 3위 팀과의 플레이오프로 밀려났다면 오는 10월 홈 앤드 어웨이 승부가 기다리고 있었다. 플레이오프행 자체가 본선행 실패 벼랑 끝에 놓인 '비상상황'인 만큼 '대표팀 조기소집' 논란이 또 불거질 수도 있는 노릇이었다. 플레이오프를 통과해도 11월 북중미-카리브해연맹(CONCACAF) 최종예선 4위팀과 두 차례 플레이오프를 치러야 한다. 대표팀 우선 분위기 속에 K리그가 또 다시 희생을 강요당할 수도 있는 상황이었다. 프로연맹 관계자는 "제발 우즈벡전에서 속시원히 본선에 올라갔으면 좋겠다"고 웃으며 고충을 애둘러 표현하기도 했다. A대표팀이 최종예선 2위로 본선에 직행하면서 'K리그 잔여 시즌 일정 조정'이라는 최악의 수는 피할 수 있게 됐다.
아쉬움 가득했던 러시아행 여정. 하지만 K리그는 '그나마 다행'이라는 단어를 속으로 되뇌며 안도의 한숨을 쉬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