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 축구 A대표팀 간판 스타 손흥민(토트넘)이 '측면'에서 '중앙'으로 이동한다. 신태용 A대표팀 감독은 11월 콜롬비아(10일) 세르비아(14일)와의 두 차례 친선경기에서 손흥민을 중앙에 투입하는 실험을 할 예정이다. 그는 "손흥민이 토트넘에서 뛰는 것에서 힌트를 얻었다"고 말했다.
손흥민의 중앙 투입은 측면에서의 선수 활용폭을 넓혀주는 효과로 이어질 수 있다. 신태용 감독이 이번에 뽑은 명단에서 중앙 공격수 자원은 손흥민과 이정협(부산 아이파크) 정도다. 원톱, 투톱 모두 가능하다. 더 효과적인 건 원톱일 것이다. 손흥민과 이정협이 함께 손발을 맞출 시간이 적기 때문에 매끄러운 투톱 호흡을 기대하기는 어렵다.
측면에선 이근호(강원) 염기훈(수원 삼성) 권창훈(디종) 이재성(전북) 중에서 고를 수 있다. 손흥민이 빠지면서 경험이 풍부한 이근호와 염기훈의 출전 시간이 늘어날 수 있게 됐다. 최근 이근호와 염기훈은 A대표팀에서 주로 조커에 머물렀다. 이근호의 폭넓고 많은 움직임은 중앙의 손흥민에게 도움이 될 것이다. 왼발킥이 정확한 염기훈의 크로스도 손흥민에게 더 많은 득점 찬스를 만들어 줄 수 있다. 현재 신태용호에서 염기훈 만큼 킥이 정확한 선수는 없다. 따라서 염기훈을 좀더 적극적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다.
신태용 감독은 손흥민 카드를 버릴 수 없다. 손흥민은 현재 태극전사 중 가장 몸값이 높은 선수다. 유럽에서 최고의 선수로 인정받는 동양인 선수다. 신태용 감독은 어떻게든 손흥민의 활용법을 고민할 수밖에 없다.
손흥민이 최적의 포지션을 찾으면 신태용 감독의 공격 퍼즐은 생각 보다 술술 풀릴 수 있다. 부상으로 이번 명단에 빠진 황희찬(잘츠부르크)이 다음에 가세할 경우 손흥민-황희찬 투톱도 가능하다. 저돌적인 움직임이 장점인 황희찬은 섀도 스트라이커로도 잘 어울린다.
노주환 기자 nogoon@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