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02년 한-일월드컵 세대가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
역시 대세는 지도자다. K리그에선 황선홍(49·서울) 유상철(46·울산)이 감독으로 현장을 누비고 있다. 윤정환(44)은 J리그 세레소 오사카를 이끌며 주가를 높이고 있다. 코치도 다수다. 수원에 세명이나 자리잡고 있다. 이운재(44) 최성용(42) 김태영(46)이 서정원 감독을 보좌하고 있다. 차두리(37) 김남일(40)은 대표팀 코치로 활동 중이고, 이을용(42) 최은성(46)은 각각 서울과 전북의 코치로 활약 중이다.
아마추어 지도자도 있다. 설기현(38)은 성균관대를 이끌고 있다. 최태욱(36)은 이랜드 U-15팀을 지도 중이다. 지금은 야인이지만 서울을 성공적으로 이끌었던 최용수(46)는 국내외 클럽들의 러브콜을 받고 있다. 포항에서 감독 생활을 한 최진철(46), 창춘 야타이에서 코치를 했던 이민성(44)은 휴식을 취하고 있다.
.'축구 방송계'도 평정했다. 안정환(41) 이영표(40) 송종국(38) 이천수(36) 김병지(47)는 선수 시절의 노하우를 십분 활용해 지상파와 케이블을 오가며 해설가로 활동중이다. 특히 안정환과 이천수는 예능프로그램에서도 왕성하게 활동하며 방송계 '블루칩'으로 대접받고 있다.
현영민을 마지막으로 4강 신화들이 모두 그라운드에서 자취를 감췄다. 영웅은 갔지만 그들이 걸었던 길 위에 찬란한 향기가 아쉬움과 함께 남았다.
박찬준 기자 vanbasten@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