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조선

[기획-뉴 NFC는 이런 곳이어야 한다]①KFA 자산 YES, 더이상 기부채납 NO!

노주환 기자

기사입력 2019-02-08 05:20


파주NFC 사진제공=KFA

2002년 한-일월드컵을 코앞에 둔 2001년 11월, 4강 신화의 모태가 된 파주 국가대표팀 트레이닝센터(NFC)가 완공됐다. 축구인들의 가슴은 벅찼다. 한국 축구의 메카가 될 것이라고 했다. 총 공사비 110억원을 들여 약 10만㎡ 부지에 천연잔디 구장 6면, 인조잔디 구장 1면에다 숙소동까지 만들었다. 이곳에서 한국 축구의 미래 100년의 꿈을 키울 줄로만 알았다.

파주NFC 건립 이후 총 다섯번의 월드컵이 흘러갔다. 만 17년의 시간이 지난 지금, 대한축구협회(KFA)는 '뉴 NFC(축구종합센터)'를 구하고 있다. 파주NFC와 작별의 시간이 다가오고 있기 때문이다.

현재 파주NFC는 축구협회의 자산이 아니다. 건립 당시 기부채납 방식을 선택했다. 기부채납은 당장의 토지 구입 비용 등을 절약할 수 있지만 일정 기간이 지나면 땅 주인 즉 지자체로 소유권을 반납해야 한다. 결국 축구협회는 빈손인 셈이다. 따라서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운영이 어렵게 된다.

축구협회의 새로운 NFC 건립 구상은 바로 여기서 시작됐다. 내집이 필요했고, 넘쳐나는 NFC 수요를 현재의 파주NFC로는 감당할 수가 없었다. 축구협회는 2006년 파주시와 2018년 7월까지 12년간 시설을 무상 사용하기로 했다. 이어 무상 사용 기간 만료를 앞두고 재 감정평가 이후 설치 시설물에 추가 기부채납으로 추가 무상 사용 기간을 2024년 1월까지로 늘렸다. 그런데 더이상 기부채납할 수 있는 자산이 남아 있지 않다. 이대로 라면 2024년 1월엔 파주NFC를 비워주워야 할 상황인 것이다.

이번 축구협회의 새 축구종합센터 건립 용지 선정 유치 신청 접수에 전국 24개 지자체가 뛰어들었다. 광역시 및 특별시(2곳)로는 울산광역시, 세종특별자치시가 신청서를 냈다. 경기도(6곳)에선 이천시, 안성시, 김포시, 하남시, 여주시, 용인시, 경상북도(6곳)에선 경주시, 문경시, 영천시, 영주시, 상주시, 예천군, 경상남도(3곳)에선 양산시, 남해군, 합천군, 전라북도(3곳)에선 군산시, 남원시, 장수군, 충청남도(2곳)에선 아산시, 천안시, 충청북도(1곳)에선 괴산군, 전라남도(1곳)에선 순천시가 유치 신청서를 냈다.

선정위원회(비공개 원칙)를 꾸린 축구협회는 1차 서류 심사를 진행 중이다. 24곳 중 절반이 1차 서류 심사에서 탈락하게 된다. 축구협회는 선정 심사 기준까지도 외부 공개를 꺼리고 있다.

한 축구 원로(익명 요청)는 "여러 심사 기준에서 축구협회의 미래를 꼭 좀 고려했으면 좋겠다. 파주NFC가 처음 만들어졌을 때 우리는 그곳에서 영원할 줄 알았다"면서 "하지만 20년이 채 지나지 않았는데 비좁고 다른 곳으로 이사를 가야할 상황이 됐다"고 말했다.

기부채납은 당장 취하기 쉬운 근시안적 방식이라는 평가가 대세다. 부지 구입비가 들어가지 않아 당장은 비용 절감 효과를 보는 것 같지만 결국 일정 기간이 지나면 또 다시 새로운 곳으로 옮기거나 아니면 사용료를 지불해야 하는 상황에 처하게 된다.


축구협회는 이번 새 축구종합센터 사업을 추진하면서 부지 조달 방식을 구체적으로 명시하지 않았다. 신청서를 낸 24곳 중에는 기부채납 방식을 신청서에 기입한 곳이 적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파주NFC와 같은 전철을 밟을 수 있는 리스크를 배제하지 않은 것이다. 반면 A 지자체 경우는 저렴한(최대 3억원) 임야를 선정 부지로 찍어 신청하기도 했다. 이 경우는 부지 소유권을 축구협회가 가지면서도 부지 구입 비용을 크게 절약할 수 있어 비용 절감 효과까지 기대할 수 있게 된다.

이번 사업에서 부지 조달은 매우 중요한 포인트다. 축구협회의 선택에 따라 향후 100년 협회의 자산 규모가 달라질 수 있기 때문이다. 축구협회는 최소 비용을 투자해 최대 효과를 거두고 싶어 한다. 또 새 축구종합센터가 향후 협회 자산이 될 경우 살림살이가 지금과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불어날 수도 있다. 따라서 기부채납 보다 토지를 구입하는 방식이 미래지향적이다. 그리고 토지 구입 비용을 절약해야 총 사업비를 절감할 수 있다. 24곳 중 기부채납이 아닌 곳은, 예정 부지의 공시지가가 높을수록 협회의 토지 구입 비용이 커질 수밖에 없다.


노주환 기자 nogoon@sportschosun.com


▶봄방학 신나는 초등생 스키캠프 열린다!

▶눈으로 보는 동영상 뉴스 핫템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