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조선

"韓-日, 월드컵 결승서 만나자" 홍명보-모리야스 대담 전문 공개, 그 내용은

최종수정 2025-07-15 11:01

"韓-日, 월드컵 결승서 만나자" 홍명보-모리야스 대담 전문 공개, 그 …
사진제공=교도통신

[스포츠조선 박상경 기자] '영원한 라이벌'은 상호 발전과 협력을 노래했다.

한-일 양국 A대표팀을 이끄는 홍명보 감독과 모리야스 하지메 감독은 지난달 말 일본 지바현 J빌리지에서 대담을 가졌다. 한-일 국교 정상화 60주년을 기념해 일본 교도통신이 마련한 이 대담에서 두 사령탑은 허심탄회하게 이야기를 나눴다. 교도통신은 최근 홍 감독과 모리야스 감독의 대담을 상, 하편으로 나눈 기사와 동영상으로 공개했다.

홍 감독은 "처음 모리야스 감독을 만난 건 1992 다이너스티컵 때였다. 이후 한-일전 때마다 '일본 대표팀에 이런 선수가 있다'는 이야기 속에는 반드시 모리야스 감독이 있었다. 팀을 위해 헌신하는 플레이가 매우 인상적이었다"고 회상했다. 모리야스 감독은 "(다이너스티컵이) 내겐 첫 한-일전이었다. 긴 역사를 가진 승부에서 뛸 수 있다는 것 자체가 기뻤지만, 한편으론 바깥에서 바라보던 세계였기에 이상한 기분도 있었다"며 "한국은 역시 강한 팀이었다"고 돌아봤다.

모리야스 감독은 1994 미국월드컵 아시아지역 최종예선 출전 당시 한국과의 인연도 떠올렸다. 그는 "당시 히로시마에서 동료로 뛰던 노정윤이 한국 대표팀 소속이었다. 한국은 요리사가 팀과 동행해 호텔에서 한식, 고기를 먹을 수 있었다. 그때 일본은 그런 환경이 갖춰지지 않아 출국 전 음식을 가져온 정도"라며 "노정윤이 '그렇게 해선 밥 많이 못 먹는다'며 김치를 가져다 줘 일본 대표팀에 나눠준 적이 있다"고 밝혔다. 홍 감독은 "당시 최종예선에 출전한 6팀 모두 한 호텔에서 머물렀다. 우리는 초반 기세가 좋았지만 이후 심적으로 쫓기고 있었다. 반면 일본은 기세가 오른 채 한국전을 치렀다. 결국 패해 위기에 몰렸지만, 운이 좋아 결국 본선에 갈 수 있었다"며 "일본이 꾸준히 성장하고 있다는 걸 실감할 수 있었다. 언젠가는 일본도 월드컵 본선에 갈 수 있을 것이라 강하게 느꼈다"고 말했다.


"韓-日, 월드컵 결승서 만나자" 홍명보-모리야스 대담 전문 공개, 그 …
 肩を組む韓?の洪明甫監督(左)と日本代表の森保一監督●?談後
78차례 한-일전 중 홍 감독은 과연 어떤 승부를 기억했을까. 그는 "미국월드컵 아시아지역 최종예선(0대1 패)과 1997년 9월 프랑스월드컵 일본전(도쿄대첩·2대1 승), 2012 런던올림픽 동메달결정전(2대0 승)이 축구 인생에서 가장 기억에 남는 한-일전"이라고 밝혔다. 모리야스 감독은 "직접 뛰진 않았지만, 프랑스월드컵 예선 한국 원정이 기억난다. 당시 관중석에서 떡볶이를 먹으며 지켜봤다. 본선에 가려면 반드시 이겨야 하는 경기였는데 승리했다"며 "런던올림픽 동메달전도 인상적이었다. A대표팀은 아니었지만, 국제대회에서 메달을 놓고 양국이 맞붙은 승부였다. 이런 경기를 A대표팀에서도 할 수 있으면 좋겠다고 생각했다. 월드컵에서도 이뤄졌으면 하는 소망을 갖고 있다"고 밝혔다.

양국 축구에 새로운 전기였던 2002 한-일월드컵. 홍 감독은 "16강전을 앞두고 일본이 먼저 경기를 치렀다. 일본이 지자 거스 히딩크 감독이 선수단 미팅을 급하게 소집했던 기억이 난다. 상대가 이탈리아였기에 '질 수도 있다'는 생각을 할 수도 있었던 상황이다. 히딩크 감독은 '여기서 만족하지 마라, 우리는 더 높은 목표를 향해 나아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동기부여를 다잡을 수 있었던 계기"라고 밝혔다.

현역시절 비슷한 플레이 스타일을 가졌던 두 지도자의 철학도 비슷했다. 홍 감독은 "팀을 훌륭하게 만들기 위해선 좋은 선수들을 많이 모으는 게 중요하다. 각자 생각, 경험은 다르지만 그들이 어떤 자세로 임하고 얼마나 헌신적인지가 매우 중요하다. 기술적인 부분도 물론 중요하지만, 팀에 어떤 영향을 끼치는 선수인지, 팀을 위해 어떻게 헌신할 수 있는지를 중요하게 보고 있다"며 "강팀을 이기기 위해선 팀의 힘이 중요하다. 많은 이들은 스타에 주목할 수 있지만, 모리야스 감독처럼 팀을 위해 헌신적인 플레이를 하는 선수가 결국 승리를 만든다. J리그 시절 '팀을 위해'라는 말을 많이 들었다. 좋은 팀은 팀을 위해 헌신하고 희생할 수 있는 선수들과 함께 만드는 것이다. 유니폼 뒷면의 등번호와 이름을 위해 뛰는 것도 있겠지만, 그보다는 앞면의 엠블럼, 국기가 가진 사명감을 갖고 싸워야 한다는 걸 선수들이 이해했으면 한다"고 말했다. 모리야스 감독은 "홍 감독의 생각과 거의 같다. '화합'이라는 원칙 아래 조직적으로 싸우는 팀을 만들고자 하고 있다"며 "조직은 개인으로 구성되는 만큼 각각의 가치관을 존중하지만, 가장 먼저 묻는 건 항상 '팀을 위해, 동료를 위해, 일본을 위해 싸울 수 있는가'다. 이를 바탕으로 화합과 상호존중을 실천할 수 있는지도 보고 있다. 홍 감독은 선수 시절 말과 행동으로 팀과 소통할 수 있는 주장이었다. 한국 대표팀 뿐만 아니라 일본에서도 스스로 해야 할 일과 팀을 위한 일을 모두 할 수 있었던 훌륭한 선수였다. 이런 선수들이 많이 키워지길 바란다"고 말했다.


"韓-日, 월드컵 결승서 만나자" 홍명보-모리야스 대담 전문 공개, 그 …
 日本代表の森保一監督(右)と?談する韓?の洪明甫監督
모리야스 감독은 북중미월드컵을 앞두고 우승을 목표로 해 화제가 된 바 있다. 국제축구연맹(FIFA) 랭킹 아시아 1위(15위)의 자신감이라는 반면, '허세'라는 지적도 있었던 게 사실. 이에 대해 모리야스 감독은 "'꿈은 크게'라는 생각으로 우승을 목표로 팀 전체와 함께 싸우고 있다. 물론 과거를 돌아보면 '무슨 말을 하는 거야'라고 비난 받을 수도 있다. 하지만 한 경기씩 치르다 보면 불가능한 건 없다고 본다. 힘든 과정을 이겨내고 최고의 풍경을 보고 싶다"고 말했다. 그는 "이런 생각은 우리의 노력도 있지만, 한국이 2002 월드컵 4강 진출을 이뤄냈기 때문이다. 그 모습을 보며 '일본도 할 수 있다'는 생각을 갖게 됐다. 한국과는 높은 수준에서 서로 경쟁하면서도 아시아를 이끌어 가는 동료라고 생각한다"며 "다음 대회, 언젠가 미래에 한국과 월드컵 결승전에서 맞붙는다면 정말 기쁠 것이다. 그런 마음가짐으로 북중미월드컵에 도전하고 싶다"고 말했다. 홍 감독은 "(북중미월드컵) 목표는 대한민국 대표팀이 지금껏 가본 적이 없는 곳으로 가는 것이다. 이를 추구하는 게 내 사명이다. 16강 진출이 하나의 목표가 될 수도 있지만, 대회까지 남은 기간 조직적, 정신적으로 강한 팀을 만드는 게 내게 주어진 역할이다. 이를 위해 매일 노력할 것"이라며 "모리야스 감독 말처럼, 일본과 월드컵 결승전에서 맞붙는 모습을 꼭 지켜보고 싶고, 실현시키고 싶다"며 "런던올림픽 개막을 앞두고 (일본 올림픽팀 사령탑이었던) 세키즈카 다카시 감독과 식사를 했다. '서로 열심히 해보자, 정보도 공유하자'는 대화를 나눴는데, 동메달전에서 맞붙었다. 이런 날이 빠른 시일 내에 다시 오도록 노력하고 싶다"고 말했다.


"韓-日, 월드컵 결승서 만나자" 홍명보-모리야스 대담 전문 공개, 그 …
 ?談する韓?の洪明甫監督(左)と日本代表の森保一監督

가깝고도 먼 이웃으로 불리는 한국과 일본. 한-일전은 '숙명의 대결'이란 타이틀이 매번 따라 붙는다. 모리야스 감독은 "한국은 동료이자 경쟁자다. 단순히 경쟁하는 관계가 아닌, 이웃으로 정보를 공유하며 함께 수준을 높여 나아갈 수 있는 동료라고 생각한다. (한국은) 아시아를 이끌어 가는 동료"라고 말했다. 그는 "한-일전은 아마 세계적으로 가장 압박감이 높은 승부일지도 모른다. 하지만 그렇기 때문에 함께 성장할 수 있는 기회"라며 "앞으로 두 나라가 세계에서 싸우기 위해 과거가 아닌 미래를 향한 관계를 구축해 나가고 싶다. (홍 감독과 함께) 주어진 시간은 (북중미월드컵까지) 1년 뿐이지만, 그 1년 동안 서로 미래로 이어질 만한 것을 만들고 싶다"고 강조했다. 홍 감독은 "일본은 나를 축구인으로서 성장시켜준 나라다. 기술적, 전술적으로 탄탄하지 않으면 경쟁할 수 없다는 걸 일깨워줬다"며 "일본의 성장은 한국에게도 하나의 동기부여였다. 앞으로도 계속 함께 성장해 나아갈 수 있었으면 한다"며 "프랑스월드컵 예선 일본전 홈 경기 때 관중석에 '함께 프랑스에 가자'는 현수막이 걸린 적이 있다. 2002 월드컵 때 한국이 16강, 8강, 4강에 오를 때마다 일본에서 많은 이들이 응원해줬다는 이야기를 들었다. 이런 일들을 잊지 않고, 새로운 미래를 만들어 나아갔으면 좋겠다"는 바람을 나타냈다.


박상경 기자 ppark@sportschosun.com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