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위기 이후 주택시장이 실수요자 중심으로 재편되면서 서울의 소형 아파트와 중대형 아파트 매매가격 격차가 크게 줄었다.
부동산114(www.r114.com)에 따르면 2006년 말 서울의 전용 85㎡이하와 85㎡초과 아파트의 3.3㎡당 매매가격 격차는 772만원 수준이었다. 2006년은 수도권 아파트 가격이 급등했던 시기로 재건축 단지와 중대형 아파트가 가격 상승을 이끌었다.
아파트 신규 공급 역시 소형 면적이 대세로 자리잡고 있다. 2000년대 초반만 해도 전용 85㎡초과 아파트가 전체 공급 물량에서 35% 정도를 차지할 정도로 비중이 높았으나 최근에는 20% 내외 수준으로 크게 줄었다. 최근 5년('10~'14년)동안 10가구 중 8가구가 전용 85㎡이하 면적대로 공급된 것이다. 특히 2014년에는 85㎡초과 면적의 공급비중이 15% 정도로 크게 낮아졌다.
▣ 금융위기 이후, 서울 소형 아파트價 중대형 역전
소형 면적과 중대형 아파트와의 가격격차가 빠르게 줄고 있는 가운데 서울 일부 지역은 전용 85㎡이하 아파트의 3.3㎡당 매매가격이 중대형을 추월했다. 2006년 말 당시 서울 25개 자치구 모두 전용 85㎡초과 아파트의 3.3㎡당가가 높았으나 현재 동작, 서초, 금천, 성북 등 8개 자치구는 소형 아파트 가격이 더 높은 역전 현상을 나타냈다.
특히, 동대문구는 전용 85㎡이하 아파트 매매가격은 3.3㎡당 1,292만원으로 85㎡초과 아파트 1,154만원과 비교해 138만원이 높았다. 이밖에 △동작구(132만원) △관악구(109만원) △금천구(82만원) △성북구(82만원) △강북구(78만원) △서초구(66만원) △서대문구(5만원) 등이 중소형 아파트 가격이 더 높았다.
소형이 중대형 아파트값을 앞지르는 지역은 더 늘어날 전망이다. 송파구의 경우 중대형 아파트의 3.3㎡당 매매가격이 약간 더 높긴 하나 격차가 불과 2만원 정도에 그치고 있고 구로, 강서 등도 격차가 크지 않기 때문이다. 여기에 최근 분양한 아파트의 경우 소형일수록 3.3㎡당 분양가가 높게 책정돼 소형과 중대형간 아파트값 격차는 더 줄어들 가능성이 있다.
송진현 기자 jhsong@sportschosun.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