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매출 상위 500대 기업 실적에 '빨간불'이 켜졌다. 지난해 매출은 마이너스 성장을 했고 영업이익은 두자릿수 감소율을 보이며 수익성이 급격한 내리막길을 탄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5대 수출 전략 업종 가운데 철강을 제외한 정보기술(IT)·전기전자, 석유화학, 자동차·부품 업종의 영업이익이 일제히 감소했고, 조선·기계·설비도 적자가 확대됐다. 또한 대표적 내수업종인 유통, 통신도 실적 악화에 시달렸다. 지난해 500대 기업 명단에서 탈락해 교체된 기업은 총 34개에 달했다.
'톱50'에 포진한 기업들 중 절반인 25개사도 영업이익이 감소(18개)하거나 적자(7개)를 기록했다. 업종별로는 철강을 제외한 5대 수출 전략업종과 유통, 통신 등 내수업종이 모두 부진했던 것으로 조사됐다.
자동차·부품 업종도 매출(268조1920억원)이 0.5% 감소했고 영업이익(17조6340억원)은 12.6%나 줄었다.
조선·설비·기계 업종은 매출 감소율이 0.8%에 그쳤지만, 영업적자는 3조3030억원으로 적자가 심화됐다. 이는 지난해 사상 최대 적자를 기록한 현대중공업의 영향으로 해석된다.
내수 업종인 유통은 매출(108조3600억원)이 5% 증가했지만 영업이익(5조750억원)은 9.8%나 줄었다. 단말기유통구조개선법(단통법) 시행 등 여파로 통신 매출(51조5850억원)도 0.5% 줄었고, 영업이익(2조1100억 원)은 37.8%나 감소했다.
반면, 보험, 철강 등 10개 업종은 선방했다. 보험은 매출(204조2250억원)과 영업이익(7조2120억원)이 각각 9.3%, 23.3% 증가했다. 건설은 전년도의 기저효과가 반영됨에 따라 매출이 7.3% 늘고 영업이익은 4654.9% 폭증했다. 철강은 매출과 영업이익이 각각 1.6%, 11.5% 늘었다.
이밖에 상사, 식음료, 서비스, 증권, 생활용품, 여신금융, 제약 등도 매출과 영업이익이 동시에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이같은 부진 속에서 팬택, 성동조선해양, 동부팜한농, 포스코엠텍 등 34곳은 지난해 500대 기업에서 탈락했으며, 도시바일렉트로닉스코리아, 인천도시공사, 중흥토건, 에프알엘코리아, 다이소아성산업 등은 500대 기업에 새로이 진입했다.
장종호 기자 bellho@sportschosun.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