롯데가(家) '형제의 난'에서 승리한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이 발로 뛰는 현장 경영으로 그룹 내부 결속에 나서고 있지만, 만만치 않은 외풍이 신 회장을 흔들고 있다. 당장 9, 10월에 예정된 국회 국정감사에 신동빈 회장 출석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크기 때문이다. 특히 여·야 정치권 모두 신 회장을 국감장에 소환할 계획이라 국감이란 외풍을 피해가기가 쉽지 않아 보인다.
신동주-신동빈 형제의 경영권 다툼이 극에 달했을 때, 정부와 여·야 정치권이 한목소리로 롯데그룹 재벌가를 질타하고 나섰다. 정부는 국세청의 대홍기획, 롯데리아 등 계열사 세무조사, 공정거래위원회의 롯데그룹 지배구조 자료 요청 등을 통해 롯데의 불투명한 지배구조에 대한 압박을 펼쳤다. 여·야 정치권은 재벌가의 경영권 싸움으로 촉발된 사회적 논란과 재벌의 비합리적인 지배구조를 문제 삼았다.
롯데, 선제 대응으로 국감 출석 막기 위해 총력
일단 롯데그룹은 신동빈 회장의 국정감사 출석 자체를 막겠다는 의지다. 지난 11일 대국민사과 기자회견을 했고, 한·일 롯데의 경영권 분쟁이 일단락된 만큼 본업인 경영에 더욱 박차를 가해야할 때라는 명분이다. 또한 문제가 됐던 불투명한 롯데그룹 지배구조에 대해선 대국민사과를 통해 사과와 함께 해결책으로 한국 롯데그룹의 지주회사격인 호텔롯데의 기업공개와 상장을 추진하고 있기 때문에 국감장 출석은 불필요하다는 입장이다. 게다가 롯데리아, 코리아세븐, 롯데정보통신 등의 주요 계열사들도 경영 투명성 확보를 위해 사외이사 도입과 기업공개를 추진하는 등 롯데그룹의 416개 순환출자 고리를 연내에 80% 해소한다는 구체적인 구상을 밝히고, 개혁 작업을 진행 중이란 주장이다. 정치권의 압박 이전에 롯데그룹이 신 회장의 지침에 따라 선제적으로 지배구조 개선 작업을 벌이고 있다는 것이다.
그리고 무엇보다 롯데 측은 신 회장을 상대로 문제점 규명이나 해결보다는 국회의원들의 '망신 주기'로만 끝날 가능성이 크다는 염려가 앞서고 있다. 여기에 실시간으로 중계되는 국정감사에 신 회장이 직접 나서 어눌한 한국어를 구사하는 모습을 다시 보여준다면 '국적 논란'과 함께 '반 롯데 정서'가 더욱 커질 수 있기 때문이다. 여기에 올 상반기 내내 시끄러웠던 제2 롯데월드 안전 문제와 롯데마트 골목상권 침해, 면세점사업 독과점 등 롯데그룹 전반에 걸친 논란거리들이 다시 부각될 가능성이 높다는 것도 상당한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
롯데 측은 일단 지배구조 개선의 성과를 빨리 보여주는 게 가장 중요한 해결책이란 생각으로 태스크포스(TF)팀 구성을 마무리해 빨리 추진할 계획이다. TF팀은 황각규 롯데그룹 운영실장(사장)이 팀장을 맡고 롯데정책본부 소속 임직원 10여명과 경영학 교수 등 외부 인사들을 합류시켜 지배구조 개선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신 회장이 밝힌 지배구조 개선안을 구체화시켜 국감 전에 빨리 공개해 관련 의혹이나 의문을 선제적으로 해결하겠다는 방안이다. 신 회장이 국감장에 출석할 필요가 없을 정도로 궁금증을 해소하겠다는 의도다.
롯데그룹 측은 "우선은 일상적으로 경영 활동에 매진하고 있는 중"이라며 "국감에 대해선 아직 정식 요청이 있는 게 아니라 먼저 얘기하기는 어려운 측면이 있다"고 밝혔다.
박종권 기자 jkp@sportschosun.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