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해들어 대기업과 은행권 등의 인력 구조조정 소식이 이어지고 있다.
이들 기업 중 41.1%는 지난해에도 인력 구조조정을 진행한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 인력 구조조정을 단행하려는 이유로는 '경영 효율성을 극대화하기 위해서'(35.6%, 복수응답)를 가장 많이 선택했다. 계속해서 '경기 침체가 장기화되고 있어서'(30.1%), '인건비를 절감하기 위해서'(30.1%), '회사사정이 어려워서'(28.8%), '기업 경쟁력을 개선하기 위해서'(26%), '잉여 인력이 많아서'(21.9%) 등의 답변이 이어졌다.
방법은 주로 '자발적 퇴직 유도'를 하겠다는 기업이 43.8%로 가장 많았고, '권고사직'이 32.9%로 뒤를 이었다. 이밖에 '희망퇴직·명예퇴직'(12.3%), '정리해고'(4.2%) 등이 있었다.
감축하려는 인원은 전체 직원의 평균 9%로 집계됐다. 결국 10명 중 1명은 내보낸다는 것이다.
직급별 인원대비 구조조정 비율이 가장 높은 직급은 '사원급'(26%)이었다. 뒤이어 '과장~차장급'(24.7%), '부장급'(21.9%), '주임~대리급'(16.4%), '임원급'(11%) 순이었다.
부서별로는 '제조/생산'(24.7%), '영업/영업관리'(13.7%), '서비스'(12.3%), '인사/총무'(11%) 등의 순으로 구조조정 비율이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하지만, 인력 구조조정을 하면서도 63%는 신규 채용을 진행할 계획이었다.
반면, 인력 구조조정 계획이 없는 기업(234개사)은 그 이유로 '불필요한 인력이 없어서'(43.6%, 복수응답), '성과가 개선되고 있어서'(20.1%), '숙련 인력이 부족해질 수 있어서'(19.7%), '미래 성장을 저해시킬 수 있어서'(15.4%) 등을 들었다.
이들 기업의 61.1%는 인건비 절감을 위해 인력 구조조정 대신 '임금 동결'(42.7%, 복수응답), '신규채용 중단'(24.5%), '임금피크제 도입'(19.6%) 등을 할 생각이라고 밝혔다.
장종호 기자 bellho@sportschosun.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