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으로 키(열쇠) 대신 스마트폰으로 차량 시동이 가능해질 전망이다.
이날 콘티넨탈 코리아의 바디전장 사업부 총괄 대표인 엄정우 부사장은 "콘티넨탈이 제공하는 다양한 솔루션 포트폴리오를 통해 고객은 원하는 기술을 결정할 수 있는 동시에 가장 안전하고 간편하게 이용할 수 있는 키를 선택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콘티넨탈 스마트 액세스(Continental Smart Access)'는 콘티넨탈의 차세대 차량 액세스 솔루션으로, 블루투스 저에너지(Bluetooth Low Energy, 이하 BLE) 기술을 기반으로 핸즈프리 액세스와 엔진 스타트 기능을 제공한다. 백엔드 서버가 운전자의 스마트폰에 무선으로 액세스 인증을 전송하고, BLE는 이 인증 정보를 스마트폰에서 자동차로 전송, 유효한 키인지 인식해 접근을 허용한다. 향후에는 운전자가 차량에 접근하는 것만으로도 차량 잠금 장치가 해제되어 운전자의 편의성을 더욱 높일 예정이다. 운전자가 탑승하면 차량은 스마트폰의 인증 정보를 확인해 엔진 시동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스마트폰을 이용해 현재 차량 위치와 관련된 GPS 데이터, 차량 잠금 또는 해제 여부, 타이어 공기압, 연료 잔여량 등 차량에 대한 세부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콘티넨탈의 아키텍처에서 스마트폰은 콘티넨탈 BLE 단말기와 통신하도록 설계되어 있으며, 향후 콘티넨탈은 시스템에 NFC(근거리 무선통신) 기술을 통합할 계획이다.
한편, 차량 액세스 및 스타트 시스템의 개발에 있어서 최우선 과제는 보안과 안전성이다. 이에 콘티넨탈은 검증된 안전성과 높은 보안 수준을 갖춘 기술만이 이러한 솔루션을 평가하고 개발하는 데 사용되고 있다. 또한 엔지니어들은 공격 가능성을 예측하고 능동적으로 예방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장종호 기자 bellho@sportschosun.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