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만성적 한계기업 2804개…제조·건설 등 4개 업종이 80% 달해

기사입력 2016-12-25 15:27


2011년 이후 국내 기업들의 부실 위험성이 확대되고 있는 만큼 구조조정과 사업재편 노력을 일관되게 추진해야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25일 한국은행 경제연구원의 최영준 연구위원이 발표한 '기업 취약성지수 개발 및 기업 부실화와의 연관성' 보고서에 따르면, 취약성지수는 2000년대 초반 이후 하락세를 유지했지만 2011년부터 소폭 상승세를 나타냈다.

만성적 한계기업의 취약성지수는 2010년 1.13에서 2011년 -1.17로 크게 떨어졌다가 2012년 -0.96, 2013년 -0.69, 2014년 -0.72로 꾸준히 상승했고 작년에는 0.66까지 올라갔다.

취약성지수가 상승했다는 것은 기업이 부실화할 위험이 그만큼 커졌다는 것을 의미한다.

여기서 만성적 한계기업은 한계기업 중 과거(2001∼2014년)에 한 차례 이상 한계기업으로 분류됐던 기업을 말한다.

한계기업은 지난해 기준으로 이자보상배율(영업이익/이자비용)이 1미만인 기업이다.

한계기업은 2000년 이후 꾸준히 늘어나면서 작년 말 4252개를 기록했다.

2011년 이후 연도별로 보면 2012년 3164개, 2013년 3662개, 2014년 4088개 등이었다.


만성적 한계기업 또한 증가세다.

2012년 2199개, 2013년 2412개, 2014년 2605개를 비롯해 지난해 2804개로 집계됐다.

업종별로 보면 한계기업의 경우 제조업, 도소매업, 부동산·임대업, 건설업 등 4개 업종이 전체의 약 80%를 차지했다.

최영준 연구위원은 보고서를 통해 "최근 들어 제조업, 건설업의 비중은 축소되고 있는 반면 도소매업, 부동산·임대업의 비중은 증대되고 있다"면서 "자동차 부품, 특수목적용 기계, 전자부품, 1차 철강 등 경기에 민감한 업종들이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다른 업종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이 부실화됐다"고 설명했다.

이어 "만성적 한계 기업의 취약성 정도가 커질수록 기업 부실이 확대될 수 있으므로 만성적 한계기업을 중심으로 구조조정 및 사업재편 노력을 꾸준하고 일관되게 실시할 필요가 있다"고 분석했다.


장종호 기자 bellho@sportschosun.com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