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조선

SK텔레콤, 직원 대상 행복 추구 가능한 근무환경 조성

김세형 기자

기사입력 2017-06-01 10:43



SK텔레콤이 1일부터 초등학교 입학 자녀 돌봄 휴직 제도 신설하고 임신기간 단축 근무 강화, 출산 축하금 확대 등 직원들의 균형 있는 직장과 가정 생활을 위한 근무환경 조성에 나선다.

SK텔레콤은 우선 자녀의 초등학교 입학 시기에 직원들이 성별에 상관 없이 최장 90일간 무급 휴직을 사용할 수 있는 '입학 자녀 돌봄 휴직 제도'를 새롭게 도입했다. 기존 육아휴직과 별개로 사용 가능하며, 휴직 기간은 재직 기간으로 인정 받는다.

자녀의 초등학교 입학 시기는 자녀의 학교 생활 적응, 부모-자녀의 원만한 관계 형성에 있어 매우 중요한 기간으로, '입학 자녀 돌봄 휴직 제도'는 자녀에게 부모의 관심이 가장 필요한 시기에 직원들이 가정에 집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도입된 제도다.

SK텔레콤은 입학 자녀 돌봄 휴직 제도 도입을 통해 직원들의 육아 스트레스 감소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했다. 특히, 상당수 여성 직원들이 퇴직을 고민하는 자녀의 초등학교 입학 시기에 휴직을 신청할 수 있어 여성 경력단절 감소에도 효과가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SK텔레콤은 임신 초기 12주 이내 또는 36주 이후에만 사용 가능했던 '임신기 단축 근무'도 전 임신 기간으로 확대했다. '임신기 단축 근무' 제도를 활용하면 여성 직원들은 임신과 동시에 출산 전까지 하루 6시간만 근무하며 건강한 출산 준비를 할 수 있다.

기존에는 단축 근무를 직접 신청해야 했지만 앞으론 여성 직원들이 눈치 보지 않고 제도를 활용할 수 있게 됐다.

SK텔레콤은 직원 출산 축하금도 첫째 · 둘째 · 셋째 출산 시 각각 30만원 · 50만원 · 100만원에서 50만원 · 100만원 · 500만원으로 상향해 재정적 지원도 강화했다.

SK텔레콤이 이같은 제도를 운영하는 것은 박정호 SK텔레콤 사장의 '직원이 행복해야 고객과 사회의 행복을 추구할 수 있으며 기업은 低출산·여성 경력 단절 등 사회적 이슈에도 책임을 다 해야 한다'는 경영 철학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


박 사장은 지난 3월 사내 어린이집 정원을 70명에서 120명으로 두 배 가까이 확대하는 등 가족 친화적인 기업문화를 정착시킨 바 있다.

SK텔레콤 관계자는 "HR 제도 개선을 통해 직원이 보다 유연하게 직장 생활과 가정 생활을 양립시켜 나갈 수 있을 것"이라며 "지속적으로 가족친화적 기업문화를 정착시켜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김세형 기자 fax123@sportschosun.com

현장정보 끝판왕 '마감직전 토토', 웹 서비스 확대출시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