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조선

명은병원 의료진, 내시경으로 척추 뼈, 디스크 감염성 합병증 치료 논문 발표

박아람 기자

기사입력 2018-02-20 16:26


<사진설명> 윤명수 의무원장 (왼쪽), 신종기 과장 (오른쪽)

흔히 골다공증성 골절 환자에게 시행되는 시멘트 성형술은 통증을 줄여주는 데 좋은 효과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치료 중 염증이 발생하면 치료가 매우 힘들어지고 경우에 따라 큰 수술을 반복적으로 진행하기도 한다.

척추 뼈나 디스크에 발생한 세균성 감염에는 일반적으로 항생제 치료부터 시작하게 되지만 시멘트 성형술 등의 시술 후에 생긴 경우는 웬만한 항생제로는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고 치료가 되더라도 재발의 우려가 매우 크기 때문에 결국 수술을 감행하는 수 밖에 없다.

그러나 시멘트 삽입술을 받는 대부분의 환자가 고령의 노인이라는 점을 감안할 때 위험부담이 무척 크다. 사망률만도 전 세계적으로 33%에 달하니 환자 본인은 물론 가족, 의료진도 쉽게 결정을 내리기가 어렵다.

부산
명은병원 윤명수 의무원장과 신종기 과장이 발표한 새로운 방식의 치료법은 시멘트 성형술 후 염증이 발생한 사례에서 광범위한 절개 및 고정술 없이 오직 작은 내시경만으로 이뤄지는 치료 방법이다.

피부에 1cm 정도의 피부 구멍을 내는 것만으로도 치료가 가능하기 때문에 지난 2018년 1월, 세계적 권위 학술지인 SCI급 국제 학술 저널 <유럽 척추외과 학회지(European Spine Journal)>에 발표한 이후 학계의 비상한 관심을 모으고 있다. 논문에는 타 병원에서 합병증이 발생한 척추 감염성 염증 환자를 작은 구멍을 통해 내시경 수술만으로 치료한 사례를 소개하였다.

명은병원 윤명수 의무원장과 신종기 과장의 이와 같은 사례는 그 동안 전 세계 어디에서도 보고된 바가 없다. 내시경 만으로 이러한 복잡한 상황을 해결하려면 매우 정교하고 숙련된 테크닉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절제 부위가 아주 작은 만큼 환자들의 회복도 빠르고 안전하다는 데서 가장 의미가 깊다. 논문에 따르면 내시경 수술 시행 시 기존 절개법, 유합술에서 실시하던 전신마취가 필요하지 않고 고령의 환자에게 안전한 국소마취 만으로도 가능하다.

논문을 발표한 윤명수 의무원장과 신종기 과장은 2017년도에도 대학교수들의 업적을 평가하는 데 주로 사용되는 SCI급 논문을 발표해 주목을 받은 바 있다. 명은병원 윤명수 의무원장은 "앞으로도 많은 환자들이 더 좋은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명은병원 의료진과 새로운 치료법을 연구하고 개발하는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포부를 밝혔다.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