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13대책 등 각종 부동산 규제책의 영향으로 주요 단지의 분양이 재차 연기되면서 올해 아파트 분양실적이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올해 4월(78.2%), 5월(70.2%), 9월(79.2%)은 원래 계획한 물량 대비 실적이 예정물량의 80%를 밑돌았다.
직방은 "규제지역의 다주택자 양도세 중과가 적용된 4월 이후 분양실적이 크게 떨어진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한 6월들어 회복세를 보이는 듯싶었지만 7, 8월에 저조한 분양 실적을 보이며 회복세를 이어가지 못했다.
정부가 7월 보유세 개편 발표를 하면서 분양 성공 등 시장을 확신할 수 없었던 것이 이유로 분석된다. 9월은 9·13대책과 추석연휴가 끼어 분양예정 물량이 대거 미뤄졌다.
올해 1만 호 이상 분양하는 지역 중 서울(64%), 경기(83%), 부산(71%)이 예정 물량 대비 적은 분양실적을 보였다.
이들 지역은 주택도시보증공사(HUG)가 고분양가 관리지역으로 지정한 곳으로, 최근 집값이 크게 오르며 조합·시행사와 HUG의 분양가 협의가 어려워 연기되는 물량이 많았다.
최근 HUG는 올해 하반기 분양 예정이던 경기 하남 위례신도시, 성남 판교 대장지구, 과천 내 건설사들에 분양보증 연기를 통보했다.
무주택 실수요자에게 신규 주택을 우선 공급하기 한 9·13대책을 담은 주택공급에 관한 규칙 개정안이 11월말 쯤 시행되는 만큼 법 시행 이후에 분양하라는 이유에서다.
직방 관계자는 "HUG의 분양 연기 통보로 4분기 분양도 예정대로 진행이 어렵게 되면서 올해 분양시장은 낮은 실적을 기록할 것으로 보인다"고 전망했다.
장종호 기자 bellho@sportschosun.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