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조선

서울대병원 박상민 교수팀 "도시공원, 심뇌혈관질환 위험도 낮춰"

장종호 기자

기사입력 2019-02-01 11:43


공원이 많은 지역에 살면 심뇌혈관질환 위험도가 감소한다는 연구결과가 나와 주목받고 있다.

관상동맥질환과 뇌졸중을 포함하고 있는 심뇌혈관질환은 전 세계적으로 사망원인 1위다.

국내에서도 인구 고령화와 서양 식습관으로 심뇌혈관질환 발생 및 유병률이 증가하고 있다. 심뇌혈관질환 위험 요인의 규명과 관리는 중요하다. 최근에는 잘 알려진 개인의 위험 요인 뿐만 아니라 자세히 알려지지 않은 환경 요인의 영향을 연구하는 사례가 늘었다.

1일 서울대병원 가정의학과 박상민 교수팀(제1저자 서수민 연구원)이 7대 대도시(서울 및 기타 광역시)에 거주하는 20세 이상 남녀 35만1409명을 대상으로 추적 관찰한 결과에 따르면, 2005년에 거주하는 시군구 단위의 행정구역의 도시공원 면적이 높을 경우 향후 8년(2006~2013년) 동안의 심뇌혈관질환 발생 위험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거주지역 도시공원 면적이 적은 사람에 비해 많은 사람은 심뇌혈관질환, 관상동맥질환, 뇌졸중 발생 위험도가 각각 15%, 17%, 13% 감소했다.

서수민 연구원은 "거주지역 주변의 도시공원 면적이 넓으면 심뇌혈관질환 위험도가 낮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연구팀을 이끈 박상민 교수는 "이번 연구에서 국민건강보험공단과 국토교통부 데이터베이스를 연계해 거주지역의 도시공원 면적과 개인의 추후 심뇌혈관질환이 관련이 있음을 밝혔다"며 "지역의 환경 요인이 개인 건강에도 영향을 끼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환경 역학 분야의 국제학술지 '국제환경저널(Environment International)' 1월호에 발표됐다.
장종호 기자 bellho@sportschosun.com


서울대병원 가정의학과 박상민 교수

▶봄방학 신나는 초등생 스키캠프 열린다!

▶눈으로 보는 동영상 뉴스 핫템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