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조선

좋은 '공기청정기' 어떻게 고를까?

이규복 기자

기사입력 2019-03-05 14:44





최악의 미세먼지 재난이 닥침에 따라 '보건마스크'와 '공기청정기'에 대한 관심이 급등하고 있다. 이에 따라 포탈 실검에 '공기청정기 순위'가 이름을 올리기도 했다.

사실 '순위'라는 말은 미끼와 같다. 많이 팔린 브랜드가 가장 우수한 제품이라고 할 수도 없고, 미세먼지 흡수나 공기청정에 대한 국제적인 기준이 없는 상황이기 때문에 비교평가가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공기청정기는 미세먼지 이슈와 함께 '집집마다'에서 '방방마다'로 트렌드가 변하고 있다. 공기청정기가 집안의 필수품으로 자리 잡고 2대 이상을 사용하는 가구도 늘어남에 따라 국내는 물론 수입 브랜드까지 다양한 제품을 쏟아내며 치열하게 경쟁 중이다.

수많은 제품들이 서로 제각각 소비자들을 유혹하고 있다. 어떤 제품을 골라야 할까. 우선 공기청정 능력의 바로미터는 필터다.

신문선 삼성전자 공기청정기 연구원은 "필터 성능은 99.99%, 99.999% 등으로 표시하는데 이 2가지가 언뜻 보면 큰 차이가 없는 것처럼 생각되지만, 10만개의 먼지가 필터를 통과해 100개가 남느냐 1개가 남느냐는 차이가 클 수도 있다"며 "청정능력을 좌우하는 필터의 수명이 긴지 짧은지도 가계경제에는 중요한 요소"라고 조언했다.

다음으로 고려할 것은 면적이다. 사용할 면적과 기기가 감당할 수 있는 면적을 감안해서 구매하지 않으면 공기청정 효과를 제대로 누릴 수 없다. 사용 면적이 클 경우 대용량 1개를 놓거나, 작은 용량의 제품을 2개 배치하는 것도 방법이다.

이외에 ▲이동성 ▲소음 ▲피부에 닿는 바람의 세기 ▲부가기능 ▲스마트 기능 ▲CA 마크(집진효율, 집진능력, 오존 발생 농도, 탈취 효율, 소음, 구조 적합성 등 검사) 등이 구매 시 개인성향에 따라 구매 조건으로 고려된다.
이규복 기자 kblee341@sportschosun.com


▶무료로 보는 오늘의 운세

▶눈으로 보는 동영상 뉴스 핫템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