응급실 흉부X선 영상에 대한 당직 의사의 판독민감도(sensitivity)는 66%에 그친 반면 인공지능을 활용할 경우엔 최고 89%에 달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응급실에서 촬영된 흉부X선 영상을 판독한 결과, 당직 영상의학과 의사의 판독민감도(sensitivity)는 66%에 머물렀으며 촬영된 영상을 판독하는데 88분(중앙값)이 소요됐다. 특히 추가검사나 치료가 필요한 이상소견이 있는 영상은 114분(중앙값)이 걸렸다. 영상 판독결과를 기다리는데만 약 1~2시간이 지체되는 셈이다.
반면 인공지능 진단시스템으로 판독했을 때 판독 민감도는 82~89%로 당직의사보다 높았다. 또한, 당직의사가 인공지능 진단시스템 분석결과를 참고해 진단했을 때도 판독 민감도가 향상됐다. 이처럼 응급실에서 인공지능 진단시스템을 활용한다면, 판독오류와 소요시간을 줄임으로써 진료지연을 개선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박 교수는 "이번 연구는 인공지능이 실제 환자진료에 충분히 활용될 수 있음을 보여주는 하나의 이정표가 될 것"이라며 "추후 보다 고도화된 인공지능 시스템 개발, 성능검증과 더불어 인공지능 활용을 극대화하는 방안에 대한 연구를 이어갈 것"이라고 밝혔다.
이번 연구는 서울대학교병원과 서울시 산학연 협력사업의 지원으로 시행됐으며 관련 분야 최고권위 학술지인 '방사선학(Radiology)' 최신호에 게재됐다.
장종호 기자 bellho@sportschosun.com
|
▶사주로 알아보는 내 운명의 상대
▶눈으로 보는 동영상 뉴스 핫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