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조선

공기청정기, 제품별 필터 교체 비용 최대 3.1배 차이

이정혁 기자

기사입력 2019-11-07 15:39


최근 미세먼지 주의보가 빈번하게 발령되고 실내 공기 질에 대한 관심이 많아지면서 공기청정기를 구매하는 소비자들이 늘고 있는 가운데 제품별로 유해가스 제거 효율이나 필터 교체 비용 등이 차이가 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소비자원은 객관적인 상품 품질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소비자들이 많이 사용하는 공기청정기 9개 제품을 대상으로 사용면적, 유해가스 제거 효율, 소음, 안전성 등을 시험·평가했다. 시험 대상 제품은 삼성(AX40R3030WMD)과 샤오미(AC-M4-AA), 샤프(FP-J40K-W), 위니아(EPA10C0XEW), 위닉스(AZSE430-IWK), 코웨이(AP-1019E), 쿠쿠(AC-12XP20FH), LG전자(AS122VDS), SK매직(ACL-120Z0SKGR)이다.

시험 결과 유해가스 제거 효율, 소음 등에서 제품 간 차이가 있었고, 필터 교체 비용은 제품 간 최대 3.1배, 연간 전기요금은 최대 1.9배 차이를 보였다. 감전·누전, 필터의 유해성분 등 안전성에서는 전 제품 이상이 없었다.

우선 새집증후군 유발 물질로 알려진 폼알데하이드와 톨루엔, 생활악취인 암모니아와 아세트알데하이드, 초산 등 5개 가스를 제거하는 성능을 평가한 결과 삼성과 샤오미, 코웨이, LG 제품이 상대적으로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제품의 유해가스 제거 효율은 84~86%를 기록해 나머지 5개 제품의 72~77%에 비해 뛰어났다.

최대 풍량으로 작동 시 발생하는 소음은 삼성·샤프·위니아·위닉스·코웨이·쿠쿠·LG 등 7개 제품이 상대적으로 작았다. 반면 SK매직 제품의 소음은 '양호', 샤오미 제품은 상대적으로 높아 '보통' 수준으로 평가됐다.

미세먼지 제거 성능과 안전성, 표시사항은 모두 관련 기준을 충족했다.

연간 필터 교체 비용은 제품 간 최대 3.1배, 전기요금은 1.9배 차이가 벌어졌다.

필터 교체 주기는 업체가 자율적으로 정하고 있지만 1년 사용 뒤 교체를 기준으로 하면 위니아가 3만5000원으로 가장 저렴했다. 이어 SK매직(5만원), 삼성(5만1000원), 위닉스(5만7000원) 순으로 높아졌다.


샤오미는 자체적으로 정한 필터 교체 주기가 짧아 1년에 2차례 교체해야 하는 만큼 연간 11만원이 소요됐다. 샤프의 경우 사용 설명서에 필터의 교체시기를 10년으로 명기하고 있으며, 필터가격은 9만이었다.

하루 7.2시간 사용을 기준으로 환산한 연간 전기요금은 쿠쿠가 9000원으로 가장 저렴했고, 삼성이 1만7000원으로 가장 비쌌다.

공기청정기 필터에서는 모두 클로로메틸이소티아졸리논(CMIT)·메틸이소티아졸리논(MIT)·옥틸이소티아졸린(OIT) 같은 살균제 성분은 검출되지 않았다.

이 밖에 무게는 샤오미 제품이 4.6㎏으로 가장 가벼웠으며, 삼성 제품은 9.0㎏으로 가장 무거웠다.

또 모든 제품이 1년의 품질보증기간을 제공하며, 위닉스 제품은 홈페이지에 제품 등록 시 2년을 제공했다. 삼성 및 LG 제품은 모터에 대해 10년, 샤오미 제품은 모터, 회로판, 전원에 대해 3년의 품질보증기간을 제공했다.

한편 소비자원은 생활밀착형 제품의 안전성과 품질 비교정보를 지속해서 제공할 계획이다. 또 환경부는 CMIT, MIT, OIT를 공기청정기용 필터 항균 등 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도록 생활 화학제품 및 살생물제의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상 함유금지물질로 지정할 예정이다.
이정혁 기자 jjangga@sportschosun.com


▶사주로 알아보는 내 운명의 상대

▶눈으로 보는 동영상 뉴스 핫템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