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조선

국토부 중심 실거래상설조사팀, 내년 2월부터 시세 급등 지역 정밀 조사

김소형 기자

기사입력 2019-11-19 15:08


내년 2월부터 국토교통부 중심의 실거래상설조사팀이 시세 급등 단지 등에 대한 실거래 신고를 상시 모니터링하고 이상거래 확인시 집중 조사에 들어간다.

국토부는 '부동산 거래신고 등에 관한 법률' 시행령과 시행규칙 개정안을 입법예고했다고 19일 밝혔다. 이는 국토부에 실거래가 신고에 대한 직접 조사권을 부여하고 실거래 신고기한을 60일에서 30일로 단축하는 등의 내용으로 법이 개정됨에 따라 세부 방안을 정한 것이다.

이로써 내년 2월부터 국토부가 중심이 돼 한국감정원을 통해 일부 부동산 과열지역의 시세 급등 단지 등에 대한 업·다운계약이나 매수자의 비정상적인 자금조달 등에 대한 정밀 조사를 할 수 있게 된다. 지금까지는 국토부가 지방자치단체의 조사에 참여하는 정도로만 개입할 수 있었지만, 주도적이고 직접적인 조사팀이 생기게 되는 셈이다.

시행령과 시행규칙 개정안에는 국토부 중심의 실거래 상시조사 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감정원이 조사 업무를 지원할 수 있도록 하는 근거 조항이 마련됐다. 또한 국토부가 실거래 불법행위에 대한 조사를 할 수 있도록 등기, 가족관계, 소득, 과세 자료 등 관계기관으로부터 요청할 수 있는 자료를 구체적으로 정했다.

혹시 있을지 모르는 자전거래와 허위 해제신고를 막기 위해 부동산 계약을 체결할 때만 아니라 해제할 때도 신고 의무가 부여된다. 실체 없이 신고만 하는 자전거래는, 집값 급등지역에서 시세를 끌어올리려고 있지도 않은 거래를 신고하는 행위가 있을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 바 있다. 자전거래와 허위 해제신고에는 과태료가 최대 3000만원 부과된다.

아울러 외국인 부동산 보유 현황을 신속히 파악하기 위해 외국인이 건축물을 신축해 취득하는 경우 신고대상으로 추가했다.
김소형기자 compact@sportschosun.com


▶사주로 알아보는 내 운명의 상대

▶눈으로 보는 동영상 뉴스 핫템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