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조선

41세 때 노동소득 정점 찍고 59세부터 적자 인생

이정혁 기자

기사입력 2019-12-09 15:25


우리나라 국민은 노동소득이 41세에 정점을 찍고, 59세에 적자로 전환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노동소득은 임금 근로자의 임금소득, 자영자와 무급 가족 종사자의 노동 가치(노동으로 발생하는 소득)를 포괄하는 개념이다. 소비는 정부에서 제공하는 재화와 서비스 등 공공서비스와 민간소비를 아우른다.

9일 통계청이 발표한 '2016년 국민이전계정'에 따르면 우리나라 국민 1인당 생애주기를 보면 0∼26세까지는 소비가 노동소득보다 많은 적자가 발생한다. 적자는 16세에서 2867만원으로 최대가 되며, 27세부터 노동소득이 소비보다 많아지는 '흑자 인생'에 진입한다. 58세까지는 노동소득이 소비보다 많아지는데, 흑자 규모는 41세에서 1435만원으로 최대가 된다. 1인당 노동소득이 41세에 3209만원으로 최대가 되기 때문이다.

59세부터는 다시 적자가 발생하며 연령증가에 따라 적자 규모는 증가한다. 59세에 노동소득은 1776만원으로 줄어드는 반면, 소비는 1855만원으로 늘어나기 때문이다.

65세에는 노동소득이 844만원으로 줄어드는 반면, 소비는 1735만원에 한다.

이어 70세에는 적자 규모가 1186만원, 75세에는 1481만원, 85세 이상에서는 1742만원으로 늘어난다.

통계청 관계자는 "생애주기에서 적자 전환 시기는 2015년 58세에서 2016년 59세로 늦춰졌다"며 "인구 고령화의 영향으로 노동 은퇴 시기가 늦춰지면서 적자 전환 시기도 늦춰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한편 통계청은 1인당 생애주기 적자 구조는 연령 증가에 따라 적자, 흑자, 적자가 차례로 발생하는 3단계 구조를 가진다고 설명했다.
이정혁 기자 jjangga@sportschosun.com


▶사주로 알아보는 내 운명의 상대

▶눈으로 보는 동영상 뉴스 핫템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